네이버, 1조원 규모 GPU 투자 계획 발표

네이버가 AI 인프라 확장을 위해 GPU에만 1조원 이상을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김희철 네이버 CFO는 5일 3분기 실적발표에서 '2026년 이후 피지컬 AI 공략 등 신규 사업 확대를 감안하면 GPU에만 1조원 이상 투자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는 올해 GPU를 포함한 전체 인프라 투자 1조원과는 별도의 추가 투자로, 네이버의 AI 사업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다. 네이버는 3분기 매출액 3조1381억원, 영업이익 5706억원의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투자 여력을 확보했다.

엔비디아와 전략적 파트너십으로 피지컬 AI 플랫폼 개발

네이버클라우드는 지난달 31일 엔비디아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차세대 피지컬 AI 플랫폼을 공동 개발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협력을 통해 네이버는 엔비디아로부터 6만장의 블랙웰 GPU를 공급받으며, 이는 국내 단일 기업 기준 최대 규모의 AI 인프라 구축을 의미한다. 피지컬 AI 플랫폼은 현실의 설비와 공간을 디지털 트윈과 시뮬레이션으로 복제해 로봇과 AI가 실제 물리 환경에서 의사결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통합 기술이다. 양사는 네이버클라우드의 디지털 트윈·로보틱스 기술과 엔비디아의 옴니버스, 아이작 심 등 3D 시뮬레이션·로보틱스 플랫폼을 결합할 계획이다.

국가 주력 산업의 생산성 혁신 목표

네이버와 엔비디아는 피지컬 AI 플랫폼을 통해 반도체, 조선, 에너지 등 국가 주력 산업의 생산성과 효율을 높일 계획이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우리는 피지컬 AI라는 개념이 나오기 전인 2017년부터 네이버 랩스를 설립해 피지컬 AI를 위한 기술을 선행 연구해왔다'며 '이런 선택과 집중의 결과 우리는 해당 기술이 지금 글로벌 최고 수준이라 자부한다'고 강조했다. 피지컬 AI는 실제 물리 환경에서 AI가 의사결정을 수행하는 기술로, 제조업의 자동화와 최적화에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네이버는 7년간의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했다고 평가한다.

GPUaaS 사업으로 수익 창출과 미래 투자 병행

김희철 CFO는 'GPU 투자에는 미래를 위한 선제적 투자 외에도 공공기관이나 민간 대상 GPUaaS(서비스형 GPU)에 따른 수익 창출 등도 감안한 것'이라며 '재무적 여력이 허용되는 선에서 적극적인 투자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GPUaaS는 GPU 자원을 클라우드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사업 모델로, 높은 GPU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한 현 상황에서 유망한 수익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네이버는 대규모 GPU 인프라를 바탕으로 공공기관과 민간 기업에 AI 컴퓨팅 자원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투자 비용을 회수하고 추가 투자 여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이는 단순한 비용 투자가 아닌 수익 창출형 투자 전략이다.

더 많은 정보는TECH & AI 허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