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클라우드, 엔비디아 GPU 6만장 확보로 AI 인프라 대폭 확충

네이버클라우드가 엔비디아로부터 최신 GPU 6만장을 확보하며 국내 AI 인프라 확충에 나섰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6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팀네이버 통합 컨퍼런스 'DAN25'에서 이같은 성과를 발표했다. 이번 GPU 확보는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과 젠슨 황 엔비디아 CEO 간의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이뤄졌다. 젠슨 황은 지난달 방한 당시 한국 정부와 주요 기업에 총 26만장의 최신 블랙웰 GPU를 공급한다고 발표했으며, 이 중 네이버가 가장 많은 6만장을 배정받았다. 김 대표는 'GPU 6만장도 AI 서비스 구현에는 충분하지 않다'며 지속적인 인프라 확충 의지를 표명했다.

'소버린 AI 2.0' 전략으로 산업 현장 진출 본격화

네이버클라우드는 기존의 언어·문화 중심 기술 자립을 넘어 산업 전반으로 확장하는 '소버린 AI 2.0' 전략을 공식 발표했다. 김유원 대표는 '기존 소버린 AI가 언어와 문화 중심의 기술 자립에 초점을 맞췄다면, 소버린 2.0은 이를 산업과 일상 전반으로 확장해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핵심 AI 모델인 '하이퍼클로바X'는 'Any-to-Any' 옴니 파운데이션 모델로 진화해 텍스트·음성·이미지·센서 데이터를 통합 처리할 수 있는 멀티모달 구조로 발전한다. 이를 통해 조선·에너지·바이오 등 각 산업 현장에 최적화된 AI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다. 소버린 AI 2.0은 단순한 기술 자립을 넘어 산업 경쟁력 강화와 국가적 AI 주권 확보를 목표로 한다.

엔비디아와 피지컬 AI 플랫폼 공동 개발로 현실-디지털 연결

네이버클라우드는 지난달 엔비디아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현실 공간과 디지털 공간을 연결하는 차세대 '피지컬 AI' 플랫폼을 공동 개발하기로 했다. 양사는 네이버클라우드의 디지털 트윈·로보틱스 기술과 엔비디아의 옴니버스, 아이작 심 등 3D 시뮬레이션 플랫폼을 결합해 산업 현장의 AI 활용을 지원한다. 피지컬 AI는 물리적 세계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분석하여 디지털 공간에서 시뮬레이션하고, 그 결과를 다시 현실에 적용하는 순환 구조를 갖는다. 이를 통해 제조업, 물류, 건설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예측 정비, 자동화 최적화, 안전 관리 등의 혁신적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로봇 시뮬레이션과 디지털 트윈 기술의 결합으로 산업 현장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AI 인프라 경쟁 가속화와 국내 기업들의 대응 전략

네이버클라우드의 대규모 GPU 확보는 국내 AI 인프라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글로벌 AI 패권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충분한 컴퓨팅 자원 확보가 AI 기술 개발과 서비스 경쟁력의 핵심 요소로 부상했다. 특히 생성형 AI와 멀티모달 AI 모델의 학습과 추론에는 막대한 컴퓨팅 파워가 필요하며, 이는 GPU 확보량과 직결된다. 네이버의 이번 성과는 국내 기업 중 가장 큰 규모로, 삼성, LG, SK 등 다른 대기업들도 AI 인프라 투자를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유원 대표의 'GPU 6만장도 부족하다'는 발언은 AI 서비스의 규모와 복잡성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향후 AI 생태계에서의 경쟁력은 기술력뿐만 아니라 인프라 규모에 의해 크게 좌우될 것으로 전망된다.

더 많은 정보는ECONOMY 허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