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 SONOW
AI와 3D 시각화 결합한 배기 유틸리티 설비 디지털트윈 플랫폼 구현
SK AX가 디지털트윈과 AX(AI 전환) 기술을 결합한 '배기 유틸리티 설비 디지털트윈 플랫폼'을 성공적으로 구현했다고 발표했다. 이 플랫폼은 AI와 3D 시각화, IoT 센서의 실시간 데이터 연동을 통해 배기 장비, 덕트, 댐퍼, 압력계 등 핵심 설비 상태를 가상공간에서 정밀하게 구현하고 이상 징후를 조기에 감지하는 혁신적인 솔루션이다.
특히 유해가스와 오염입자 등 안전 처리가 필요한 배기 설비 전반을 가상공간에서 통제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가상공간에는 실제와 동일한 설비 상태, 공정 흐름, 압력, 온도, 진동, 유해물질 농도 등의 조건이 실시간으로 연동되어 운영자가 현장에 직접 가지 않고도 설비 전반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정 변경이나 운전 조건 변화 시 시뮬레이션을 통한 사전 영향 분석이 가능해지며, AI가 설비의 가동 주기와 배기 압력, 팬 속도 등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최적화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성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설비 사고 5% 감소·운영비 10% 절감 등 정량적 성과 입증
SK AX는 이번 플랫폼 도입으로 설비 사고 발생 건수를 최대 5% 감소시키고, 운영 및 투자비를 10% 이상 절감하며, 설비 운영 효율을 25% 이상 향상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개별 장비 단위를 넘어 공정 전체를 통합 분석하고 최적화할 수 있는 시스템의 장점이 반영된 결과다.
특히 공정 내 병목구간과 압력 손실 등의 리스크를 조기에 파악해 사고 위험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예방적 유지보수 체계를 구축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기존의 사후 대응 방식에서 벗어나 데이터 기반의 예측적 관리로 패러다임을 전환한 것이다.
SK AX의 디지털트윈 플랫폼은 SHE(안전·건강·환경) 서비스와 연계되어 작업자 안전과 환경 문제에도 종합적으로 대응한다. 작업 전 위험 요소 사전 식별, 환경 기준 초과 예측 및 조치 등을 통해 ESG 경영 역량을 실질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체계를 갖췄다.
모든 제조 공정으로 확장하는 데이터 기반 실행형 AX 전략
SK AX는 배기 유틸리티 설비 디지털트윈 사업을 시작으로 향후 모든 제조 공정 설비를 통합 관제하고 데이터 기반 실행형 AX로 확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단순한 설비 구조 복제를 넘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정을 실시간으로 통제하는 차세대 제조 혁신 모델을 의미한다.
김광수 SK AX 제조서비스부문장은 "설비 구조 복제를 넘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정을 통제하는 실행형 제조 AX의 대표 사례"라며 "고객이 수율을 높이고 리스크를 줄이며 환경 규제에도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는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이 단순한 자동화를 넘어 지능형 자율 운영 체계로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