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지역별 고용률 통계 차트와 분석 자료

출처 : SONOW

신안군 전국 최고, 목포시 최하위…21%p 격차

2025년 상반기 전라남도 지역별 고용조사 결과, 같은 도 내에서도 지역별 고용률 격차가 극명하게 나타났다.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신안군이 80.2%로 전국 최고 수준의 고용률을 기록한 반면, 목포시는 59.2%에 머물러 최하위권을 나타냈다.

두 지역 간 고용률 격차는 무려 21%포인트에 달해, 동일한 광역자치단체 내에서도 지역별 경제 여건과 산업 특성이 얼마나 다른지를 보여준다. 이러한 현상은 지난해에도 유사하게 나타난 것으로, 구조적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신안군의 높은 고용률은 농어업과 관광업 비중이 높고, 가족 단위 자영업과 직접 생산 활동 참여율이 높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반면 목포시는 서비스업 중심의 산업구조와 타 지역으로의 통근 의존도가 높아 상대적으로 낮은 고용률을 나타내고 있다.

산업도시별 고용 특성과 지역별 차이점

광양시는 포스코 등 대기업 제조업체가 집중된 산업도시 특성을 보였다. 고용률 68.3%로 전남 평균을 상회했지만, 실업률이 3.4%로 전남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양질의 일자리를 찾는 구직자들의 집중과 제조업 특성상 높은 진입장벽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해석된다.

여수시는 고용률 64.2%로 보통 수준이지만 주목할 만한 특징을 보였다. 생활권 자족도가 98.3%로 나타나, 여수에서 일하는 사람 중 98.3%가 여수에 거주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석유화학단지를 중심으로 한 지역 내 완결형 산업생태계가 구축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나주시는 고용률 67.7%, 실업률 0.7%로 가장 안정적인 고용구조를 보였다. 순천시는 고용률 61.9%, 실업률 3.2%로 중간 수준의 결과를 나타내며, 두 지역 모두 특별히 높거나 낮지 않은 균형잡힌 고용 상황을 보여줬다.

산업구조와 생활권이 결정하는 고용 패턴

지역별 고용률 차이는 크게 세 가지 요인으로 설명된다. 첫째는 산업구조의 차이다. 신안군처럼 농어업이 발달한 지역은 가족종사자 비중이 높아 고용률이 높게 나타나지만, 임금근로자보다는 자영업 형태가 많다.

둘째는 기업 입지와 일자리 특성이다. 광양시처럼 대기업 공장이 있는 지역은 임금근로자 비중이 높고 상대적으로 고임금 일자리가 많지만, 진입 조건이 까다로워 실업률도 함께 높아진다.

셋째는 지역의 자족도와 통근 패턴이다. 목포시는 자체적인 일자리 창출력이 상대적으로 약하고, 광주 등 타 지역으로 통근하는 인구가 많아 지역 내 고용률이 낮게 집계되는 구조적 특성을 보인다.

이번 조사 결과는 전남 내에서도 '어떤 산업이 중심이냐, 사람들이 어디서 일하느냐'에 따라 고용 상황이 크게 달라진다는 점을 명확히 보여준다. 각 지역의 산업 특성과 지리적 여건을 고려한 맞춤형 고용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