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트럭과 한옥이 어우러진 부산 공유경제 페스티벌 전경

출처 : SONOW

현황: 부산 공유기업 신규 9개·재지정 6개, 총 42개 체제로

부산시는 3일 ‘2025 공유기업 지정 공고’를 통해 푸드트럭·한옥·농가 노동력 공유 등 생활밀착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15개사를 선정했다. 이로써 2014년 제도 시행 이후 누적 42개 기업이 3년 인증을 획득했다. 올해 신규 9개사는 ▷푸드트래블(푸드트럭 공유) ▷도시농사꾼(별빛팜 공간) ▷이이비네트웍스(강의·촬영실) ▷다이브(여행정보) ▷플래닉스(농가 노동력) ▷샤라웃(공연장·아티스트) ▷어흥(국악예술공간) ▷그리니어(한옥 숙박) ▷제로메이커스(다회용기)다. 재지정 6개사는 짐캐리(여행 짐 배송), 요트탈래(요트 공유) 등으로, 시장 안착성과 ESG 성과가 검증됐다.

심층 분석: ‘공유→순환’ 비즈니스 논리와 지역경제 파급

공유경제 모델은 유휴 자원을 IT 플랫폼·예약 시스템으로 매칭해 ‘저비용 고효율’ 수익구조를 만든다. 부산은 관광·해양·농업 등 복합 도시 자산을 보유해 공유경제 성장 잠재력이 크다. 도시농사꾼은 별빛팜 공유로 청년농부 매출 18%↑, 푸드트래블은 푸드트럭 37대를 빅데이터 기반 배차해 창업 비용 40% 절감 효과를 거뒀다. 시는 선정 기업에 사업비(300만~1000만 원), BM 1:1 컨설팅, 투자 유치 IR 패키지를 지원해 연간 평균 매출 성장률 24%를 달성하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전망: 관광·도심재생·농촌활력 3대 축 융합 전략

전문가들은 부산 공유경제 생태계가 ①관광형(여행가방·요트·한옥) ②도심재생형(공연장·국악공간) ③농촌협력형(농가 일손)으로 3대 축을 형성하며, 2027년까지 일자리 1200개·부가가치 700억 원 창출이 가능하다고 본다. 공유 플랫폼 이용객 중 52%가 ‘친환경·사회적 가치’를 선택 이유로 꼽아 ESG 트렌드와의 정합성도 높다. 다만 수익모델 다변화, 규제 샌드박스 활용, 데이터 신뢰도 제고가 성공 열쇠로 지적된다.

시사점·과제: 규제·신뢰·확장성 3대 난제 해소 필요

푸드트럭 공유는 식품위생법, 도로점용허가 등 복수 규제, 한옥 공유는 건축법·숙박업 인·허가 제약, 농가 노동력 공유는 고용보험·산재보험 사각지대 문제가 존재한다. 시는 ‘공유경제 규제협의체’를 9월 출범해 원스톱 행정 지원을 약속했다. 또한 블록체인 기반 거래기록·평점시스템 도입으로 플랫폼 신뢰도를 높이고, 메가시티(부울경) 광역 연계 확장을 추진할 방침이다.

“공유경제는 부산의 관광자산·디지털인프라와 결합해 지역소멸 대응 해법이 될 수 있다. 다만 행정·제도 잉크가 마르기 전에 비즈니스 속도가 꺾이지 않도록 ‘패스트트랙’ 지원이 필수다.” — 부산경제진흥원

결론·제언

부산 공유기업 42곳은 디지털 기술과 지역자산의 ‘순환 융합’ 모델을 실험 중이다. 시는 규제 샌드박스·펀딩 지원·데이터 투명성 3대 전략으로 성장 사다리를 확보하고, 기업은 사회적 가치 KPI를 내재화해 투자자·소비자 신뢰를 끌어올려야 한다. 공유경제의 파급효과가 ‘지속가능 도시 부산’을 견인하려면 공공·민간·시민이 모두 참여하는 ‘트리플 헬릭스’ 협력체계가 필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