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 SONOW
삼성전자 2.37% 상승, SK하이닉스 1.56% 반등…전날 급락 후 하루 만에 회복
코스피 대장주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연이은 악재로 주가 변동성을 보이는 가운데, 2일에는 반등세를 나타냈다. 이날 오후 2시 30분 기준 삼성전자는 전 거래일 대비 2.37% 상승한 6만9천200원, SK하이닉스는 1.56% 오른 26만원에 거래됐다. 이는 전날 각각 3.01%, 4.83% 급락한 것과 대조적인 흐름이다.
지난달부터 전날까지 SK하이닉스는 6.4%, 삼성전자는 5.3% 하락하며 등락을 반복해왔다. 미국 정부가 지난달 29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공장을 '검증된 최종 사용자'(VEU) 프로그램에서 제외한다고 발표한 것이 주요 악재로 작용했다.
미국 VEU 프로그램 제외로 중국 공장 장비 반입 제약, 120일 유예 기간 적용
미국은 2022년 10월부터 중국 반도체 산업 견제를 위해 반도체 장비의 중국 반입을 사실상 금지해왔다. VEU 자격을 보유한 업체는 미국 허가 없이도 미국산 장비를 중국으로 반입할 수 있었지만, 앞으로 120일 유예 기간이 끝나면 중국 내 생산 시설에 반도체 장비를 반입할 때마다 매건 허가를 받아야 한다.
류영호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신규 라인과 공정들은 국내에서 생산·투자 계획이 되어 있고, 중국 지역은 현상 유지에 초점을 두고 있어 단기적인 VEU 폐지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미국 정책으로 인한 과도한 주가 하락이 발생한다면 과거와 같이 결국 되돌림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알리바바 자체 AI 칩 개발 발표, 중국 기술 추격론에 증권가는 회의적 시각
중국 최대 클라우드 컴퓨팅 기업 알리바바가 자체 AI 칩을 개발했다는 소식도 악재로 작용했다. 알리바바는 엔비디아의 주요 고객사 중 하나여서 국내 반도체 기업들의 경쟁 구조 심화 우려가 제기됐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두 가지 이슈가 반도체 업종 투자심리에 악영향으로 작용하면서 코스피가 3140선까지 밀렸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증권가에서는 중국의 기술 추월론에 대해 회의적 시각을 보이고 있다. 이 연구원은 "미중간 AI 기술 경쟁 구도에서 중국의 추격과 미국의 견제로 투자심리를 흔드는 이슈가 반복되고 있다"며 "이는 지난 1월 딥시크 사태를 연상케 하며, 실력차이가 여전한 상황에서 미국에 끌려가지 않기 위한 중국의 기술력 과대 선전 경향을 감안해야 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증권가 "미국 규제가 오히려 메모리 가격 상승 요인" 긍정적 전망 유지
증권가에서는 미국의 대중 반도체 규제가 오히려 국내 기업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중국 반도체 장비 반입 금지 조치는 중장기적으로 D램, 낸드 생산량 축소 요인으로 작용해 향후 D램, 낸드 가격 상승을 자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D램, 낸드의 최종 수요처 대부분이 미국 빅테크 업체인 점을 고려하면 향후 메모리 가격 상승은 미 빅테크 업체의 제조 원가 상승으로 이어져 미국 고객사의 부담 요인이 될 것"이라며 국내 반도체 기업들이 주도권을 잡기 유리한 환경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박유악 키움증권 연구원은 HBM4 시장 전망에 대해 "신규 공급되는 HBM4는 공급 업체 간 경쟁이 치열해지며 SK하이닉스 50%, 삼성전자 30%, 마이크론 20% 수준의 점유율을 기록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기존 SK하이닉스 독주 체제에서 삼성전자가 30% 점유율로 가세하면서 경쟁구도가 재편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외국인과 기관이 전날 삼성전자를 각각 7229억원, 1729억원 순매도했지만, 개인 투자자들은 5817억원을 순매수하며 저점 매수에 나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