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 SONOW
기술주 중심 투매로 나스닥 1%대 급락
미국 뉴욕증시가 19일(현지시간) 기술주 중심의 투매세로 혼조세를 보였다. 특히 나스닥이 314.82포인트(1.46%) 급락한 2만1,314.95에 마감하며 큰 폭의 하락세를 기록했다. 이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잭슨홀 연설을 앞두고 시장 참가자들의 경계감이 높아진 가운데 AI 관련 거품론까지 겹치면서 나타난 결과다.
3대 지수는 서로 다른 방향을 보였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0.45포인트(0.02%) 소폭 오른 4만4,922.27에 마감했지만, 대형주 중심의 S&P 500지수는 37.78포인트(0.59%) 하락한 6,411.37에 거래를 마쳤다.
기술주의 동반 하락이 눈에 띄었다. 인공지능(AI) 기반 소프트웨어 기업 팔란티어가 9.35% 급락했으며, AMD가 5.44%, 엔비디아가 3.50% 하락했다. 이 외에도 테슬라(-1.75%), 메타(-2.07%), 넷플릭스(-2.48%) 등 주요 기술 대형주들이 일제히 약세를 보였다.
반면 전통적인 방어주로 여겨지는 부동산, 필수소비재, 유틸리티, 헬스케어 업종은 상대적으로 선방했다. 이는 투자자들이 위험자산에서 안전자산으로 자금을 이동시키는 리스크 오프(risk-off) 성향을 보인 것으로 해석된다.
샘 올트먼의 AI 거품 경고가 시장 충격
이번 기술주 급락의 직접적인 촉발 요인 중 하나는 오픈AI의 샘 올트먼 CEO가 AI 산업의 거품 가능성을 공개적으로 언급한 것이다. 올트먼은 전날 기자 간담회에서 "투자자들이 AI에 과도하게 흥분해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거품이 끼어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AI 혁명의 선두주자로 여겨지는 오픈AI의 최고경영자가 직접 거품론을 제기한 것은 시장에 상당한 충격을 안겼다. 올트먼은 AI 산업에 대한 투자를 멈추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지만, AI 기업들의 가치가 이미 "통제 불능 수준"에 이르렀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이러한 발언은 그동안 AI 관련 주식들의 가파른 상승세를 견인해온 낙관론에 찬물을 끼얹는 효과를 가져왔다. 특히 팔란티어, 엔비디아 등 AI 대장주들이 큰 폭으로 하락한 것은 이러한 우려가 실제 매도 압력으로 이어졌음을 보여준다.
여기에 중국 정부가 자국 데이터센터에 중국산 반도체를 50% 이상 사용하라고 요구했다는 소식도 반도체 관련 주식들의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는 미국 반도체 기업들의 중국 시장 접근이 더욱 제한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됐다.
잭슨홀 앞두고 금리 불확실성 증대
기술주 하락의 또 다른 주요 배경은 21~23일 미국 와이오밍주에서 열리는 잭슨홀 경제정책 심포지엄과 22일 예정된 파월 연준 의장의 연설에 대한 경계감이다. 투자자들은 파월 의장의 발언에서 향후 통화정책 방향에 대한 단서를 찾으려 하고 있다.
시장은 9월 미국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를 유지하고 있지만, 최근 경제지표들이 예상과 다른 모습을 보이면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지난 14일 발표된 7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예상치를 크게 상회하면서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다시 고개를 들었다.
이로 인해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 직후 커졌던 빅컷(기준금리 0.5%포인트 인하)에 대한 기대는 상당히 축소된 상태다. 시장은 고용 둔화를 이유로 9월 금리 인하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지만, 파월 의장이 급격한 금리 조정에 대한 우려나 인플레이션 리스크를 강조할 경우 시장 변동성이 더욱 커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개별 종목들의 엇갈린 움직임
전반적인 기술주 약세 속에서도 개별 종목들은 각자의 펀더멘털에 따라 엇갈린 움직임을 보였다. 미국 대형 소매업체 홈디포는 2분기 실적이 예상치를 밑돌았음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3.17% 상승했다. 이는 동일 점포 매출이 꾸준히 증가한 점을 시장이 긍정적으로 평가한 결과로 분석된다.
인텔은 6.97% 급반등했다. 전날 트럼프 행정부가 인텔에 대한 지분 투자를 검토 중이라는 소식에 급락했던 것과는 대조적인 움직임이다. 일본 소프트뱅크가 약 20억 달러를 투자해 인텔의 보통주를 매입했다는 소식이 호재로 작용했다.
사이버 보안업체 팔로알토 네트웍스는 3.0% 상승했다. 2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웃돌면서 투자자들의 긍정적 반응을 이끌어냈다.
이번 주 주요 이벤트와 시장 전망
이번 주에는 월마트와 타깃 등 주요 유통업체의 실적 발표가 예정되어 있어 주목된다. 이들 기업은 관세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업계인 만큼, 관세 불확실성이 실물 경제에 어떻게 전이되고 있는지를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이벤트는 역시 잭슨홀 심포지엄이다. 파월 의장의 연설 내용에 따라 향후 몇 달간의 시장 방향이 결정될 수 있을 만큼 중요한 행사다. 특히 금리 정책에 대한 구체적인 가이던스가 제시될 경우 주식시장뿐만 아니라 채권, 달러, 원자재 시장까지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시장은 AI 거품론과 금리 불확실성이라는 이중 부담을 안고 있어 당분간 높은 변동성을 보일 가능성이 크다. 투자자들은 파월 의장의 발언과 주요 기업들의 실적 발표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신중한 접근을 취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