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창구와 주식 차트, 암호화폐 거래 화면이 합성된 이미지

출처 : SONOW

하반기 39조원 규모 예금 대탈출, 저금리가 주원인

국내 5대 은행에서 투자 대기자금 성격인 요구불예금이 하반기 들어 39조원 가까이 빠져나가는 이례적인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 등 5대 은행의 지난 14일 요구불예금 잔액은 617조4606억원으로, 이달 들어서만 21조7308억원이 감소했다.

지난 7월 감소액 17조4892억원까지 합하면 하반기 들어 총 39조2200억원이 줄어든 셈이다. 이는 최근 2년간 월별 감소액이 30조원을 넘은 지난해 4월(31조5511억원) 이후 가장 큰 규모다. 이달 전체 감소폭이 30조원을 넘을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대규모 자금 이탈의 배경에는 저금리에 대한 투자자들의 실망감이 자리잡고 있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18일 기준 전국 은행에서 판매 중인 38개 정기예금의 최고금리는 평균 연 2.54%에 그쳤다. 1금융권에서는 우대금리를 모두 받아도 연 3%대 예금을 찾기 어려운 상황이다.

한 시중은행 임원은 "불경기가 지속되면서 기업의 예치금이 감소하고 있고, 개인사업자들 또한 예비자금까지 사업 유지비로 투입하는 지경"이라며 "거기에 금리마저 거듭 하락하자 은행권 자금 이탈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주식·암호화폐로 쏠리는 '머니 무브' 현상

저금리에 실망한 투자자들이 기대수익률이 높은 재테크 대상을 찾아 은행을 떠나는 현상이 본격화되고 있다. 그 주요 목적지는 강세장이 이어지는 주식시장이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13일 국내 증시의 투자자 예탁금(장내 파생상품 거래 예수금 제외)은 67조8339억원으로, 이재명 정부 출범 직전인 5월 말(57조2971억원) 이후 10조5368억원 증가했다.

증시 예탁금은 이달 1일 71조7777억원을 기록하며 3년 6개월 만에 70조원을 돌파하기도 했다. 이는 투자자들이 은행 예금에서 빠져나온 자금을 주식시장으로 대거 이동시키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다.

암호화폐 시장도 최근 다시 들썩이고 있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거듭 신고가를 기록하면서 매수세가 점점 강해지는 추세다. 14일 업비트에서 거래된 암호화폐 규모는 8조1400억원에 달했다. 하루 거래대금은 6월 1조~2조원 수준에 그쳤지만, 지난달 이후 5조~10조원대로 급증한 상황이다.

다른 시중은행 임원은 "차라리 호황인 주식이나 상장지수펀드(ETF), 암호화폐 등에 투자하는 게 낫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늘어나는 추세"라며 "아직은 '금리가 더 떨어지기 전에 예금하자'는 심리가 남아 있지만 예금금리가 지금보다 낮아지면 2금융권과도 수신 경쟁을 벌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경기 침체와 추가 금리 인하 전망이 불안 요소

금융권에서는 한국은행이 올해 안에 경기 부양을 위해 기준금리를 추가로 낮출 가능성을 점치고 있어 은행권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한국 경제성장률은 올 2분기까지 다섯 분기 연속 1%를 밑돌았으며, 국내 은행의 대출 연체율도 5월 0.64%까지 뛰어 8년 6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하반기부터는 미국의 상호관세(15%) 충격이 수출 전선에 본격적으로 반영될 예정이다. 아시아개발은행(ADB)은 이 같은 이유로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5%에서 지난달 0.8%로 대폭 하향 조정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도 전망치를 0.8%로 유지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추가적인 기준금리 인하가 현실화될 경우 예금금리는 더욱 하락할 수밖에 없고, 이는 은행권 자금 이탈을 더욱 가속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저축은행과 상호금융 등 2금융권으로 눈길만 돌려도 연 3%대 상품이 적지 않은 상황에서 1금융권의 경쟁력 약화는 불가피해 보인다.

예금자보호한도 상향, 과연 '방파제' 역할할까

시중은행들은 다음달 예금자보호한도가 5000만원에서 1억원으로 늘어나는 것이 자금 이탈을 막는 '방파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은행이 파산해도 회수할 수 있는 금액이 증가하면 그동안 여러 곳에 분산해놓은 자금 중 일부가 은행으로 유입될 수 있다는 논리다.

실제로 국내 5대 은행의 14일 기준 정기예금 잔액은 946조6102억원으로 하반기 들어 14조원가량 늘어난 상태다. 이는 투자자들이 완전히 은행을 외면하는 것이 아니라, 요구불예금에서 정기예금으로 이동하는 경향도 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금융업계에서는 예금자보호한도 상향만으로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할 것이라는 회의적인 시각도 적지 않다. 저금리 기조가 지속되는 한 투자자들의 고수익 추구 성향은 계속될 것이고, 이는 결국 더 많은 자금이 주식이나 암호화폐 등 위험자산으로 이동하는 결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