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 아파트 전경과 고층 건물

출처 : SONOW

6·27 대책 이후 6주 만의 반등…서울 아파트값 다시 올라

6·27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주춤하던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다시 상승세로 전환됐다. 한국부동산원이 8월 첫째 주(4일 기준) 발표한 주간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 대비 0.14% 상승하며 6주 만에 반등에 성공했다. 강남권, 마용성(마포·용산·성동), 강동구 등 주요 지역의 상승폭이 눈에 띄게 확대됐다.

서울 아파트값은 27주 연속 상승 중이며, 강남구는 0.11%에서 0.15%로, 성동구는 0.22%에서 0.33%로 상승폭이 커졌다. 같은 기간 마포구는 0.14%, 용산구는 0.22% 상승했다. 강동구(0.14%), 광진구(0.24%), 양천구(0.18%) 등도 강세를 보였다. 수도권 전체 상승폭도 확대(0.04%→0.05%)된 반면 지방은 하락세(-0.02%→-0.03%)를 이어갔다.

재건축 기대감·신고가 거래, 반등 배경은?

이번 반등의 주요 배경으로는 재건축 단지에 대한 기대감과 전반적인 공급 부족 현상이 꼽힌다. 특히 성남 분당구(0.47%), 과천시(0.34%) 등 강남 인접 1기 신도시에서도 상승폭이 커졌다. 거래량은 7월 기준 3403건으로 6월(1만1970건) 대비 급감했지만, 인기 지역에서는 신고가 거래가 이어지고 있다.

예컨대 송파구 ‘잠실주공5단지’는 전용 76㎡가 지난달 41억7700만 원에, 여의도 시범아파트 전용 79㎡는 28억7000만 원, 삼부아파트 전용 146㎡는 51억500만 원에 거래되며 최고가를 기록했다. 압구정 2·4·5구역 등 재건축 단지의 정비계획이 서울시 심의를 통과하면서 소유자들이 매도 대신 호가를 올리고 있는 상황이다.

정책 효과 '한계'…공급 부족 속 실수요 회복

정부는 6·27 대책을 통해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 원으로 제한하고, 실거주 의무를 부과하는 강력한 규제를 도입했다. 단기적으로는 매수심리를 억제했지만, 한 달이 지난 지금은 실효성이 약화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역세권과 학군지 등 선호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여전히 매수 문의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관망세 속에서도 재건축·역세권·학군 중심지에서 상승 거래가 포착되고 있다”며, 시장 전반이 아닌 '선택적 반등'이 일어나고 있음을 시사했다.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도 강화되며, 실제 매물 희소성이 시장 가격에 직접 반영되는 구조가 나타나고 있다.

내년 서울 입주량 반토막…공급 불균형 지속 전망

2026년까지 이어질 수 있는 공급 부족 우려는 향후 집값 흐름을 결정짓는 핵심 요인이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내년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은 약 2만4400가구로, 올해 4만6710가구 대비 절반 수준에 그칠 전망이다.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입주물량 감소, 전세시장 불안, 공급 부족이 누적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근본 원인 해결 없이 대출 규제만 강화하면 수요만 억제될 뿐 가격 상승은 되레 자극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결론: 실효성 있는 공급 정책 없이는 집값 안정 어려워

거래 감소 속에도 집값이 상승하는 이례적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 6·27 대책의 한계가 드러난 상황에서 정부는 보다 구조적인 공급 대책과 수요안정 정책을 병행해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