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열 식힌 규제…집값 급등세 '멈춤'
6.27 대출 규제가 발표된 지 한 달, 시장 분위기는 확연히 달라졌습니다. 규제 전후로 신고가가 이어졌던 서울 성동구, 강남 3구 등 주요 지역은 거래량이 10분의 1 수준으로 얼어붙었습니다.
서울 아파트값 주간 상승률도 4주 연속 둔화, 전국적으로도 관망세가 뚜렷하게 감지됩니다. 실제 현장에선 "매수 문의가 끊겼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최동일/공인중개사(성동구)] "거의 매수 문의는 없어요. 급매로 나온 매물 없느냐 이제 그런 문의만 있을 뿐…."
대출 규제 효과와 집값 심리 변화
대출 규제의 강도와 주택 가격 하락 전망이 맞물리면서, 집값에 대한 기대 심리도 크게 위축됐습니다. 실제로 4달 연속 상승하던 주택가격 전망지수는 이달 들어 3년 만에 최대 폭으로 하락 전환했습니다.
전세대출 문턱이 높아진 영향으로 전월세 시장도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일부 중개업소는 "전세 자금을 치를 수 없어 급하게 가격을 낮췄다"고 밝혔습니다.
[김규정/한국투자증권 부동산 전문위원] "대출 규제 강화 정도가 예상보다 세기도 했고, 주택 가격 하락에 대한 전망이 짙어지면서 확실히 둔화가 됐고요."
여전히 남은 불씨…추가 대책 필요
시장엔 아직도 '똘똘한 한 채' 선호, 풍부한 유동성 등 집값 불안 요인들이 남아 있습니다. 현금 부자들이 매물을 노리는 등 투자 대기 수요도 여전합니다.
공급 확대와 같은 구체적 추가 대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
[신광문/한국공인중개사협회 책임연구원] "심리적으로도 한 번 더, 3기 신도시 용적률을 높여서 입주 물량을 늘리든가 하는 추가 조치가 필요합니다."
정부는 앞으로 시장 과열 조짐이 다시 나타날 경우 규제지역 확대, 추가 대출 규제 등 강력한 대응에 나서겠다는 방침을 재확인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