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 SONOW
트럼프, 조지아 한국인 구금 4일 후 **외국 투자 위축 우려** 첫 공개 표명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4일 외국 기업의 미국 투자 위축을 원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지난 4일 조지아주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한국인 근로자 317명을 포함해 475명이 구금된 사태 이후 처음으로 투자 위축 우려를 공개적으로 표명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나는 다른 나라나 해외 기업들이 미국에 투자하는 것을 겁먹게 하거나 의욕을 꺾고 싶지 않다"며 "우리는 그들과 그 직원들을 환영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는 그들로부터 배우고, 머지않은 미래에 그들만의 '기술'에서 그들보다 더 잘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외국 기업 **전문 인력 도입**을 통한 **미국인 교육** 제안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외국 기업들이 복잡한 제품과 기계를 제조하기 위해 미국에 막대한 투자를 할 때, 자국의 전문가들을 일정 기간 데려와 미국인들을 교육시켜 주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그는 "외국 기업들이 극도로 복잡한 제품, 기계, 다양한 다른 것들을 만들기 위해 막대한 투자를 가지고 미국에 들어올 때, 자국의 전문 인력을 일정 기간 데려와서 미국인들에게 이러한 매우 독특하고 복잡한 제품들을 만드는 방법을 가르치고 훈련시켜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조선업을 예로 들며 트럼프 대통령은 "과거에는 하루에 한 척을 건조했지만, 지금은 겨우 1년에 한 척 정도만 건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우리가 이것을 하지 않는다면 칩·반도체·컴퓨터·선박·열차 등에 대한 그 모든 막대한 투자는 애초에 들어오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 기업들 **22개 프로젝트 중단**, 현대차 공장 **2~3개월 지연**
한국 기업들은 이번 구금 사태 이후 미국 내 최소 22개 프로젝트를 중단했다고 보도됐다. 현대차 호세 무뇨스 최고경영자는 이번 사태로 조지아 배터리 공장 가동이 최소 2~3개월 지연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 정부는 이번 사태에 강력히 반발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11일 기자회견에서 "상황이 매우 혼란스럽다"며 "기업들이 미국 투자를 매우 주저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이런 관행이 불가능해진다면 미국에서 제조업 운영을 설립하는 것이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며 "기업들이 그러한 투자의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반이민 정책**과 **외국인 투자 유치** 사이 모순 드러나, 향후 전망
미국 국무부 고위 외교관은 14일 서울에서 열린 회담에서 이번 사태에 대해 유감을 표명했다고 한국 외교부가 발표했다. 한국 측은 새로운 비자 카테고리 신설 등 후속 조치에 대한 양자 논의를 추진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번 사태는 트럼프 행정부의 강경한 반이민 정책과 제조업 부활을 위한 외국인 투자 유치 정책 사이의 모순을 드러냈다. 한국은 미국 내 6번째 교역 파트너이자 최대 외국인 직접투자국 중 하나로, 최근 관세 인하를 위해 3500억 달러 투자를 약속한 상태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가 한국뿐만 아니라 다른 외국 기업들의 대미 투자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특히 고도의 기술력을 보유한 아시아 기업들의 미국 진출에 타격을 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