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 SONOW
2023년 65세 이상 864만명 연금 수급, 5년새 32.1% 증가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9명은 어떤 형태로든 연금을 받고 있지만, 절대적인 수급 금액은 최저생계비에 크게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65세 이상 공·사적 연금 수급자 수는 863만6000명으로 전년 대비 5.6%(45만4000명) 증가했다. 연금 수급자 수는 2018년 653만6000명에서 5년 새 32.1%(210만명) 대폭 증가했으며, 65세 이상 인구 중 연금 수급자 비율은 2018년 88.4%에서 2023년 90.9%로 2.5%포인트 상승했다.
연금 수급자들이 받는 금액도 지속적으로 늘어났다. 2023년 월평균 수급액은 69만5000원으로 전년 대비 6.9%(4만5000원) 증가했으며, 2018년(47만8000원)과 비교하면 45.4% 늘어난 수준이다. 그러나 2023년 기준 1인 가구 최저생계비 124만6735원과 비교하면 월평균 연금 수급액이 55만원가량 부족해 연금만으로는 최저생계비를 맞추기 어려운 상황이다.
월 수급액 25-50만원 구간이 50.9%로 절반 넘어, 지역별 격차도 존재
월평균 연금 수급액 구성비를 살펴보면 25만~50만원 구간이 절반(50.9%)을 넘어 가장 많았다. 이어 50만~100만원(31.1%), 100만~200만원(8.2%), 200만원 이상(5.9%), 25만원 미만(4.0%)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 연금 수급자의 절반 이상이 월 50만원도 받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수치다.
지역별로는 연금 수급률이 전남(94.9%)에서 가장 높았고, 전북(93.6%)·경북(93.6%)이 그 뒤를 이었다. 반면 서울(87.2%)·세종(89.0%)·경기(89.6%)·제주(89.9%) 등은 수급률이 90% 미만이었다. 흥미롭게도 세종은 수급률에서 하위권이지만 월평균 수급액이 84만9000원으로 전국 1위를 기록해 수급률과 수급액 간 역상관 관계를 보였다.
60-64세 '소득 크레바스' 구간 수급률 42.7%에 그쳐 심각한 소득 공백
통계청이 이번에 별도 분석한 '소득 크레바스' 위험이 높은 60~64세 연령대의 상황은 더욱 심각했다. 2023년 60~64세 연금 수급자는 177만3000명으로 수급률이 42.7%에 그쳤으며, 이들의 월평균 수급액은 100만4000원이었다. 국민연금의 노령연금 수급 개시 이전인 60~62세의 수급률은 24.8%에 불과했고 수급액은 120만원이었다. 63~64세의 수급률은 69.9%로 높아졌지만 수급액은 89만8000원으로 오히려 줄어들었다.
최재혁 통계청 행정통계과장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수급률은 높아지지만 수급액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2023년 연금 가입자 수는 2374만1000명으로 전년 대비 0.4%(9만8000명) 감소했으며, 18~59세 연금 가입자들이 한 달에 내는 보험료는 평균 34만4000원으로 40대(38만9000원)가 가장 많이 납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