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전 대통령과 제약사 대표 회의 장면

출처 : SONOW

트럼프의 약가 인하 요구, 전면전 예고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글로벌 제약사에 대해 강력한 약값 인하를 요구하면서 미국 보건의료 정책의 전환이 시작됐다. 백악관은 암젠, 화이자, 아스트라제네카 등 17개 제약사에 공식적으로 ‘최혜국대우(MFN)’ 수준의 약가 조치를 9월 29일까지 시행할 것을 통보했다. 트럼프는 “미국 국민이 같은 약을 타국보다 2~3배 비싸게 사고 있다”며, 이에 대한 시정이 없다면 정부 차원의 직접 개입이 뒤따를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는 단순한 요구 수준이 아니라, 미국 내 약가 정책이 제도적 대전환을 맞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업계는 상당한 충격을 받고 있다. 트럼프 측은 특히 PBM(처방급여관리업체) 구조를 건너뛴 ‘직접 판매’ 방식 도입을 강조하며, 중간 유통 비용 구조까지 문제 삼고 있다.

제약업계, 협상 돌입…불가피한 변화 수용 분위기

미국 정부의 요구는 강경했지만, 제약업계는 즉각적인 반발보다는 협상 전략으로 선회하는 모습이다. 존슨앤드존슨, 화이자, 노보노디스크 등은 정부와의 논의에 나서기 시작했으며, 아스트라제네카는 자발적인 약가 부담 완화 정책과 미국 내 생산설비 확대 방안을 발표했다.

이는 과거의 전면적 반대 전략에서 벗어나, 정책 수용과 유연한 조정을 통해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려는 시도로 해석된다. 업계 내부에서도 “지금은 무조건 반대할 때가 아니라, 합리적인 수준에서 제도개편을 수용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유리하다”는 의견이 확산되고 있다.

시장 반응과 정책 전망: 제도 전환기 도래

이번 발표 직후, JP모건 등 주요 투자기관은 “단기적인 악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며 시장에 안도감을 주었지만, 장기적으로는 미국 약가 시스템 전반이 재편될 수 있다는 분석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MFN 제도 도입은 글로벌 의약품 가격의 기준이 미국 시장으로 수렴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또한 바이든 정부와의 정책 연속성 여부도 주요 변수다. 만약 트럼프가 재집권한다면, 강력한 보건의료 개혁 드라이브가 걸릴 것으로 보이며, 이 경우 전 세계 제약사는 미국 약가 기준에 맞춘 가격 정책 재편이 불가피할 수 있다.

정치적 의도와 글로벌 시사점

트럼프의 약가 인하 정책은 단순한 의료비 절감 차원을 넘어선 정치적 메시지를 내포하고 있다. 그는 보건의료 분야에서 국민 체감 정책을 통해 지지층을 결집하려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 미국 대선에서도 주요한 의제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글로벌 제약사 입장에서도 이번 정책은 단순한 미국 시장 변화에 그치지 않고, 다른 국가의 약가정책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환점으로 해석된다. 각국 보건당국은 미국의 사례를 주목하며 자국 제도와의 정합성 검토에 들어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