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 SONOW
트럼프의 약값 인하 압박, 글로벌 제약사에 60일 시한
2025년 7월 31일,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애브비, 화이자, 노바티스 등 17개 글로벌 제약사에 약가 인하를 촉구하는 공식 서한을 전달했다. 핵심은 '미국 내 약값이 외국보다 비싸선 안 된다'는 원칙이다.
서한은 자국 내 약값을 OECD 국가 중 최저 수준(MFN 가격)으로 낮추고, 신약 수출가가 미국보다 낮아서는 안 된다는 조건을 포함했다. 60일 이내 구속력 있는 가격 조정안을 제출하라는 강경한 메시지가 담겼다.
이 조치는 트럼프가 5월 행정명령으로 예고한 정책의 연장선이다. 백악관은 약가 인하 불응 시 유통구조 개편, 관세 부과, 수출 제한 등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겠다고 경고했다.
글로벌 산업 타격…시장, 즉각 반응
정책 발표 직후, S&P 제약업종 지수는 3% 가까이 하락했다. 화이자, 길리어드, 머크 등의 주가도 일제히 1.5~5% 하락하며 시장이 민감하게 반응했다.
제약업계의 반응은 엇갈렸다. 화이자와 노보 노디스크 등은 환자 접근성 확대를 위한 논의에 열린 입장을 보였지만, 아스트라제네카, GSK 등은 침묵을 지켰다. 미국제약협회는 “외국의 약가 통제를 국내에 들여오면 R&D 기반이 무너질 수 있다”며 반발했다.
반면, 중간 유통업체인 PBM(Pharmacy Benefit Manager) 업계는 트럼프 방침을 적극 환영했다. PBM은 약가 협상·관리의 중심축으로, 제약사 직판 모델이 강화되면 역할 변화가 예상된다.
정책 실효성 논란과 국제 통상 리스크
씨티리서치 등 글로벌 투자기관은 “행정명령만으로 가격 인하를 강제하는 데는 법적 한계가 있다”고 지적한다. UBS는 “정책보다는 선거용 압박 메시지”라는 평가를 내놓았다.
일부 제약사는 트럼프의 정책을 ‘정치적 통상전략’으로 해석한다. 실제로 미국은 EU와의 수입품 관세 협상과 연계해 의약품에 15% 관세를 검토 중이다. 이는 향후 232조 국가안보 조사의 결과에 따라 현실화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R&D 투자 위축, 혁신 저해, 신약 공급 차질 등의 부작용이 우려된다. 미국은 세계 최대 제약 시장이자, 글로벌 제약사 매출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주요국으로, 시장 질서에 큰 충격을 줄 수 있다.
전망: 규제 강화 vs 정치적 레버리지
트럼프의 약가 인하 정책은 한편으론 미국 납세자 부담 경감을 위한 구조 개편 시도로, 또 다른 한편으론 대선 국면에서의 강력한 정치적 메시지로 해석된다.
정책 실현 가능성은 의회, 법제도, 업계 반응에 따라 유동적이다. 단기적으로는 제약사 주가 변동성과 국제 관세 분쟁 가능성이 커질 수 있으며, 장기적으론 글로벌 제약 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 논쟁으로 이어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