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 SONOW
현황/배경: 7.19% 인상의 맥락
정부는 2026년 건강보험료율을 7.19% 인상한다. 고령화에 따른 진료비 증가, 필수의료 지원 확대, 약제·치료재료 비용 상승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최근 몇 년간 보장성 강화 정책으로 총진료비가 빠르게 늘었고, 지방·중소병원의 적자 구조가 심화되면서 공적 재정의 역할이 확대되는 국면이다. 누적 적립금의 변동성과 국고지원의 법정 기준 대비 부족 문제도 논쟁의 배경이다.
인상 결정은 단기 재정안정과 중장기 지속가능성 균형을 겨냥한다. 다만 가입자 소득 정체, 체감 물가 부담, 자영업자·지역가입자의 보험료 책정 형평성 문제가 얽혀있다. 정책 목표는 보장성 유지·강화와 재정건전성의 동시 달성이다.
심층 분석: 재정수지와 지출 구조
수입 측면에서는 보험료율 인상과 함께 국고지원 정상화가 핵심 변수다. 법정 지원 비율에 미달하는 관행이 지속되면 보험료율만으로는 재정수지 안정이 어렵다. 지출 측면에서는 고비용 중증·희귀 질환과 고가 신약의 비중이 확대되고, 만성질환 유병률 상승이 외래·약제 지출을 끌어올린다.
지불제도는 성과 연동형으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DRG·포괄수가의 확대, Pay-for-Performance 도입, 불필요한 입원·검사 억제를 위한 가이드라인 기반 심사가 비용 상승을 제어할 수 있다. 지역완결형 의료전달체계 정착과 중증·경증 분담도 핵심이다.
필수의료 분야는 분만·소아·응급·외상 중심으로 인력·수가 인센티브가 강화된다. 다만 단가 인상만으로는 지속가능하지 않다. 야간·주말 근무 가산, 파견·교육비 지원, 권역 네트워크 구축 등 패키지형 대책이 필요하다.
전망/시사점: 가입자 부담 관리와 성과 중심 전환
단기적으로 보험료 수입 증대로 재정적자 폭이 축소될 가능성이 크다. 중기적으로는 고령화 속도가 더 빨라져 자연증가분이 커진다. 따라서 예방·만성관리 강화, 일차의료 역할 확대, 디지털 헬스를 통한 모니터링·재입원 억제가 비용곡선을 완만하게 만든다.
가입자 부담 완화 장치는 체감도와 공정성이 중요하다. 저소득층·영세 자영업자에 대한 보험료 경감, 특정 상병 본인부담 상한·본인부담금 분할 납부, 임신·영유아·중증질환자의 보호 장치가 실질적 보호를 제공한다. 대기업·상급종합병원의 과잉 진료 유인을 낮추고 필수의료 수요를 지방에서 흡수할 수 있도록 권역별 KPI를 설계해야 한다.
핵심은 보장성 유지와 재정건전성의 동시 달성이다. 수입 다변화와 지출 혁신이 함께 작동할 때 보험료 인상의 빈도와 폭을 줄일 수 있다.
결론/제언: 3대 실행 과제
제언 1: 법정 국고지원 비율 준수와 다년 협약으로 재정의 예측가능성을 높여라. 제언 2: 필수의료 인력·시설 인센티브를 성과 지표와 연동하고, 야간·주말 가산을 단계적으로 상향하라. 제언 3: 만성질환 기반의 지불제도 혼합(포괄·성과·성과공유)을 도입해 불필요한 진료를 억제하고 결과 지표를 공개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