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술 개발과 연구개발 예산 증액을 보여주는 그래프

출처 : SONOW

2026년 R&D 예산 35조3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19.3% 역대 최대 증가

정부가 2026년 예산안에서 인공지능(AI)과 연구개발(R&D)에 사상 최대 규모의 예산을 편성했다고 29일 발표했다. R&D 예산은 전년 대비 19.3% 증가한 35조3000억원으로 책정되어 역대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이는 'AI 3강 도약'을 목표로 한국을 글로벌 AI 선도국가로 도약시키겠다는 정부 의지를 보여준다.

예산 증액의 핵심은 AI, 바이오·헬스, 콘텐츠, 방산, 친환경 에너지, 로봇 등 6대 첨단산업 기술개발에 집중 투자하는 것이다. 특히 제조·조선·자동차 등 주력 산업을 중심으로 '피지컬 AI' 선도국가 도약을 위한 대규모 투자가 이뤄진다.

6개 지역 AI 거점 조성과 생활밀접형 제품 300개 AI 적용 프로젝트 추진

정부는 지역별 특화 AI 사업을 통해 전국적인 AI 생태계 구축에 나선다. 광주(에너지·모빌리티·240억원), 대구(로봇·바이오 AX·198억원), 경남(기계·부품가공·400억원), 대전(버티컬AI 대전환·1594억원), 전북(AI 팩토리 테스트베드·400억원), 부울경(해양·항만 AX·370억원) 등 6개 지역에서 대규모 AX R&D 실증 프로젝트가 확대된다.

또한 제조·바이오헬스·주택·물류 등 생활밀접형 제품 300개에 AI를 적용하는 'AX-Sprint 300' 사업이 신설된다(932억원). 자동음향조절 마이크, 피부분석 화장품 추적기기, 신생아 우울 모션 분석기 등 혁신 제품 개발이 포함되며, 2000여명의 창업·중소기업이 참여할 수 있는 사업화 지원이 이뤄진다.

GPU 5만장 조기 확보로 전 국민 AI 인프라 구축과 고급 인재 1만명 양성

정부는 AI 경쟁력 강화를 위해 최신 GPU 1만5000장을 추가 구매하여 2026년까지 총 5만장을 조기 확보할 계획이다. 국가 슈퍼컴퓨터와 민간 클라우드-GPU 보급을 병행하고, AI-SaaS 개발(150억원), AI 클러스터(300억원), 데이터 공유 플랫폼 'AI-스페이스'(120억원) 구축 등 인프라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한다.

인재 양성 측면에서는 초·중·고·대학·연구자·전문가 등 생애주기별 맞춤형 교육을 통해 고급 AI 인재 1만여명을 양성하고, EBS·AI캠퍼스·산업맞춤형 교육체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창업·투자 활성화를 위해 AI 혁신펀드(1000억원), 딥테크 AI펀드(3000억원)도 조성하여 스타트업과 벤처기업의 상용화와 시장 진출을 지원한다.

5년간 100조원 규모 국민성장펀드로 미래 전략산업 투자 확대

정부는 5년간 100조원 이상의 '국민성장펀드'를 신설하여 미래 전략산업에 대한 투자를 대폭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모태펀드 출자(2조원)와 전략적 투자 강화를 통해 중소·벤처기업의 스케일업을 지원하며, AI·딥테크 특화 창업패키지와 유니콘 브릿지 사업 등을 추진해 지역 창업 생태계 활성화에 나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