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반 지능형 CCTV와 119 신고 시스템 시연 장면

출처 : SONOW

정부, 국정과제에 ‘재난 피해 최소화’ 목표 설정

정부는 최근 국정과제를 통해 ‘재난 피해 최소화를 위한 예방·대응 강화’를 핵심 과제로 제시했다. 이에 따라 행정안전부는 홍수·가뭄·산불 등 자연재난과 대형 사회재난에 대응하기 위해 AI, 드론, IoT 센서 등 첨단 스마트기술을 전면적으로 도입할 계획이다.

이는 인력 위주의 기존 재난 대응체계가 가진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고, 데이터 기반의 최적화된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지능형 CCTV 고도화로 대규모 관제 한계 극복

대표적 사례로는 ‘AI 기반 지능형 CCTV 고도화’가 꼽힌다. 행안부는 이태원 참사 이후 전국 지자체가 관리하는 CCTV를 지능형으로 교체하는 지침을 마련했다. 그러나 수천 대의 CCTV를 단순 인력 관제만으로 감시하기에는 한계가 명확하다는 점에서, AI 영상 분석을 통한 관제 효율화가 추진된다.

향후 이 시스템은 전국 지자체에 배포돼 실시간 위험 탐지와 대응 속도를 높이는 데 활용될 전망이다.

AI 119 신고 분류 시스템으로 대응 속도 향상

또 다른 핵심은 ‘AI 기반 119 시스템’이다. 소방청과 협력해 구축되는 이 시스템은 신고가 순간적으로 폭주할 때 AI가 신고 유형을 자동 분류·처리해 대응 속도를 높인다. 이를 통해 긴급구조의 지연 문제를 크게 완화하고, 현장 출동 체계를 신속하게 최적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단순 인력 보강이 아닌, AI 알고리즘을 통한 구조적 효율화로 평가된다.

재난 특화 데이터 개방과 알고리즘 개발 지원

재난 대응에서 중요한 과제 중 하나는 데이터 부족 문제다. 현재 지능형 CCTV는 재난·재해 상황을 정확히 인식하는 데 한계가 있는데, 이는 특수 상황 데이터가 충분히 확보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행안부는 지자체가 개별 보유한 재난 영상 데이터를 취합·개방해 민간 AI 성능 개선에 활용하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더불어 수요가 적어 민간 개발이 미진한 ‘재난 특화 알고리즘’을 정부가 직접 개발해 지자체와 기업에 제공함으로써, 민관 협력을 통한 기술 저변 확대를 유도할 계획이다.

스마트기술 융합으로 재난 대응 패러다임 전환

행안부는 드론과 IoT 센서 등 다양한 스마트기술을 연계해 산불 등 기존 인력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재난 상황을 관리하는 체계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 데이터 개방과 공공·민간의 협업을 통해 국가 재난대응 역량을 구조적으로 강화하는 시도다.

궁극적으로 이번 정책은 재난 예방과 대응을 ‘스마트기술 기반 체계’로 전환해, 국민 안전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