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 SONOW
RE100 국가산단 최적 입지로 주목받는 솔라시도
전남 해남군의 솔라시도 기업도시가 대한민국 신재생에너지 거점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지난 22일 서울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솔라시도 AI 에너지 신도시 및 RE100 산업단지 조성 정책포럼'에는 박지원·안도걸·정진욱 국회의원과 명현관 해남군수가 참석해 솔라시도의 미래 비전을 논의했다.
이들은 해남이 정부 국정과제인 RE100 산업단지를 조성할 최적의 입지라고 강조하며, 국회와 지자체 차원의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RE100은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겠다는 국제적 캠페인으로, 글로벌 기업들의 필수 경영전략이 되고 있다.
솔라시도의 가장 큰 강점은 풍부한 신재생에너지 자원이다. 5.4GW 규모의 태양광 발전 잠재력과 12.3GW의 해상풍력 자원을 동시에 보유해, 기업들이 원하는 재생에너지 100% 전환을 실현하기에 매우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AI 산업과 에너지의 융합으로 스마트 도시 구현
솔라시도는 단순한 에너지 공급기지를 넘어 AI 산업과의 융합을 통한 차세대 스마트 에너지 도시로 발전할 계획이다. 데이터센터와 AI 산업을 결합해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면서, 에너지 수급의 지능형 최적화가 가능한 혁신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AI 기반 에너지 관리시스템을 통해 태양광과 해상풍력의 간헐성 문제를 해결하고, 실시간 수요예측과 공급조절이 가능한 스마트그리드 구축을 목표로 한다. 이는 국내 에너지 자립도를 높이는 동시에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합하는 미래형 산업단지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명현관 해남군수는 "솔라시도를 탄소중립 시대를 선도하는 국가 전략 거점으로 만들겠다"고 밝히며, 햇빛·바람·AI라는 3박자를 갖춘 드문 지역적 특성을 강조했다.
실현 과제와 정부 지원 계획
하지만 솔라시도의 성공적 조성을 위해서는 여러 과제가 남아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생산된 전력을 수도권까지 안정적으로 송전할 수 있는 송전망 확충이다. 현재의 전력망으로는 대규모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을 감당하기 어려워, 국가 차원의 전력 인프라 투자가 필수적이다.
또한 기업들이 쉽게 친환경 전기를 구매할 수 있는 제도적 개선도 뒤따라야 한다. 현행 전력거래 시스템 하에서는 RE100 이행을 위한 녹색프리미엄 제도나 재생에너지 직접거래(PPA) 활성화가 필요하다.
해상풍력 개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민과 어민과의 이해관계 조정, 지역 일자리 창출과 에너지·AI 전문인력 양성도 중요한 과제로 지적되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과제 해결을 위해 올해 안에 RE100 특별법을 마련하고, 2026년 상반기까지 해남을 포함한 RE100 국가산단 지정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정책포럼을 통해 정치권·정부·지자체가 한목소리로 지원 의지를 밝힌 만큼, 해남 솔라시도가 '한국판 에너지 실리콘밸리'로 도약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