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 SONOW
핵심: ‘적정 섭취’는 안전, 일부 암에서는 보호 신호
국제암연구소(IARC)의 재평가 이후, 커피 자체는 사람에서 발암성으로 분류되지 않는다(비분류·Group 3). 역학 근거를 종합하면 일반 성인의 적정 섭취(하루 1~3잔 수준)는 암 전체 위험을 높이지 않으며, 특히 간암과 자궁내막암에서 위험 감소 신호가 반복 관찰된다. 다만 해석 시 흡연·식습관 등 교란요인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contentReference[oaicite:0]{index=0}
데이터가 말하는 보호 효과: 간암·자궁내막암
최신 체계적 고찰·메타분석에 따르면 커피 섭취는 간세포암(HCC) 위험과 역상관을 보인다. 복수의 코호트·환자대조 연구를 묶은 분석에서 섭취 증가와 함께 위험이 유의하게 낮아졌다. 항염·항산화 성분(클로로겐산, 카페스톨, 카웨올)과 인슐린 감수성 개선이 기전으로 제시된다. 자궁내막암에서도 용량-반응 관계가 관찰되어, 하루 1잔 증가할 때 위험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했다는 보고가 다수다. :contentReference[oaicite:1]{index=1}
주의 1: ‘아주 뜨거운’ 음료 온도
커피의 성분보다도 섭취 온도가 식도암과 관련될 수 있다. IARC는 65℃를 넘는 ‘아주 뜨거운’ 음료 섭취를 식도암의 개연성 있는 위험(2A)으로 평가했다. 열 손상이 점막 염증·재생을 반복시켜 발암을 촉진할 수 있다는 생물학적 설명과 일치한다. 즉, 뜨겁지 않게(60℃ 내외) 마시는 것이 중요하다. :contentReference[oaicite:2]{index=2}
주의 2: 하루 총 카페인·개인 상황
건강한 성인의 하루 총 카페인 상한은 대략 400mg(대략 12온스 커피 2~3잔)으로 제시된다. 불면·불안·부정맥 성향이 있거나 위식도역류가 심한 경우, 늦은 시간 섭취는 피한다. 임신 중에는 200mg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권고된다. 디카페인 커피도 폴리페놀은 상당 부분 유지되어 대체 옵션이 될 수 있다. :contentReference[oaicite:3]{index=3}
생활 적용: ‘하루 2잔’의 현명한 가이드
① 뜨겁지 않게(65℃ 미만) ② 하루 1~3잔 범위에서 규칙적으로 ③ 흡연·가당 크리머를 피하고 식사 패턴을 건강하게 ④ 필터 커피 위주(지질 성분으로 인한 지질 증가 우려 감소) ⑤ 야간 카페인은 감량—이 다섯 가지 원칙이 현실적이다. 커피는 만능 예방약이 아니라 생활 습관의 일부로 관리할 때, 암 위험 관리에 긍정적 신호를 더한다. :contentReference[oaicite:4]{index=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