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 김범석, 672억 기부금 전액 미국행 확인

쿠팡 창업자 김범석 의장이 지난해 11월 보통주 200만주(약 672억원)를 미국 자선기금에 전액 기부한 사실이 국정감사를 통해 확인됐다. 더불어민주당 안호영 의원이 공개한 미국 SEC 자료에 따르면, 김 의장은 2024년 11월 11일 기준 쿠팡 클래스A 보통주 200만주를 자선기금에 증여했다. 당시 주가 기준 한화 약 672억원 규모다. SEC 공시에는 기부처가 'a fund for charitable donations(자선기금)'으로만 표기돼 구체적 실체는 명시되지 않았지만, 의원실 확인 결과 전액이 미국 내 자선기금으로 흘러간 것으로 드러났다. 쿠팡은 당초 기부가 한국을 포함한 국내외에서 이뤄질 것이라고 발표했지만, 실제로는 전액이 미국으로만 향했다.

매출 90% 한국 vs 기부 100% 미국의 모순

쿠팡의 매출 구조와 기부 방향의 극명한 대조가 논란의 핵심이다. 쿠팡은 매출의 약 90% 이상을 한국에서 올리고 있지만, 김 의장의 기부금은 전액 미국으로만 향했다. 업계에서는 미국 시민권자인 김 의장의 세금 전략이 기부처 결정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분석한다. 미국 세법상 김 의장은 미국 정부 인정 자선단체 기부 시에만 조정소득의 60%까지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특히 주식 기부 시 더 큰 세금 혜택이 가능하다. 반면 한국이나 해외 기관 기부 시에는 세금 공제를 전혀 받을 수 없다. 쿠팡 관계자는 구체적 기부처에 대해 '자선기금 운용 방식에 따라 운용된다'는 모호한 답변만 내놨다. 미국 본사에 질의해도 구체적 자료를 받기 어려운 상황이다.

정치권 '사회적 책임 회피' 강력 비판

정치권에서는 김 의장의 기부 행태를 사회적 책임 회피로 규정하며 강력히 비판하고 있다. 안호영 의원은 '쿠팡의 매출과 이익 대부분이 한국에서 발생함에도 창업자가 세금 절감을 이유로 미국에만 기부한 것은 사회적 책임에서 벗어난 행위'라고 지적했다. 특히 '한국 소비자와 노동자들의 노력으로 성장한 기업임에도 국내에는 아무런 환원이 이뤄지지 않은 점이 매우 유감스럽다'고 비판했다. 이는 쿠팡이 한국 시장에서 급성장하며 막대한 이익을 창출했지만, 정작 사회 환원은 세금 혜택이 있는 미국에서만 이뤄진다는 점에서 도덕적 해이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쿠팡의 성장 과정에서 한국 정부의 각종 지원과 소비자들의 충성도가 큰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비판 강도는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쿠팡 실적 호조 속 사회적 환원 논란 확산

쿠팡의 뛰어난 실적과 대조되는 사회적 환원 부족이 논란을 더욱 키우고 있다. 쿠팡은 올해 3개 분기 연속 2천억원대 영업이익을 기록했으며, 지난 5일 발표한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0% 성장한 12조8천억원으로 분기 기준 최대를 달성했다. 이처럼 한국 시장에서 거둔 성과가 막대함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환원은 전무한 상황이다. 특히 김 의장이 미국 시민권자라는 이유로 세금 혜택만을 고려해 기부처를 결정한 것으로 보이면서, 다국적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근본적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향후 쿠팡에 대한 사회적 압박과 정치권의 견제가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기업의 사회적 환원 방식에 대한 제도적 개선 논의도 활발해질 전망이다.

더 많은 정보는HEADLINES 허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