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영국 연구, 수면 6시간 이하 시 치매 위험 30% 증가 확인

경희대병원 신경과 이진산 교수는 수면 부족이 뇌 대사 기능과 노폐물 처리 능력을 저하시켜 인지 기능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깨어 있는 동안 뇌에 축적되는 아데노신의 대사 활동이 교란되거나 알츠하이머병의 원인 물질인 베타-아밀로이드 등의 대사산물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2021년 영국에서 진행된 장기 추적 연구에 따르면, 하루 수면 시간이 6시간 이하인 사람은 7시간 이상 자는 사람에 비해 치매 발병 위험이 30% 높았습니다. 좋은 수면은 깊은 수면에 들어가 뇌가 정상적으로 회복하는 것으로, 규칙적인 생활 습관과 조용하고 안락한 환경이 치매 예방의 필수 요소입니다.

전체 치매의 10%는 원인 치료 시 호전 가능, 70여 가지 원인 질환 존재

치매는 크게 퇴행성 치매와 혈관성 치매로 구분됩니다. 환자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알츠하이머병은 베타-아밀로이드와 타우 단백질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되어 발병하며, 기억장애와 언어장애, 시공간기능장애 등이 서서히 나타납니다.

혈관성 치매는 뇌경색, 뇌출혈 이후 급작스럽게 나타나며 기억력 저하와 성격 변화, 보행장애 등이 비교적 급격히 악화되는 특성을 보입니다.

이진산 교수는 치매가 퇴행성, 뇌혈관 질환 이외에도 정상압수두증, 우울증, 갑상선 저하증에 의해 발병하기도 한다며, 전체 치매의 약 10% 정도는 유발 원인을 치료했을 때 증상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정상압수두증은 과도한 뇌척수액을 배액하면 개선되고, 갑상선 저하증은 호르몬 제제 복용으로 개선이 가능합니다.

정확한 신경심리 및 뇌영상 검사로 원인 파악이 치료의 핵심

이진산 교수는 기억장애가 의심된다면 신경심리 및 뇌영상 검사 등을 시행해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치매를 유발하는 원인 질환은 대략 70여 가지에 이를 만큼 다양하며, 환자마다 증상이 전혀 다른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부모님의 기억력이 평소보다 떨어졌다면 치매라고 섣불리 의심하기보다는 정확한 검사를 통해 정상 노화와 비정상적인 노화를 구분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환자의 특수한 신체적, 심리적, 환경적 상황을 포괄적으로 고려한 세심한 관찰이 치료의 핵심이라고 이 교수는 덧붙였습니다.

더 많은 정보는TECH & AI 허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