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 SONOW
MZ세대, 부모 세대보다 10~20년 일찍 찾아오는 성인병에 위기감 느껴
요즘 건강 관리의 화두는 단연 '저속 노화(Slow Aging)'다. 저속 노화는 나이 들수록 노화돼 가는 것은 인정하되, 최대한 노화를 늦추자는 데 방점을 찍은 건강 트렌드다. 단순히 젊어 보이려는 외모 관리 차원을 넘어, 생물학적 노화 속도를 늦추고 건강한 삶의 기간을 연장하는 데 중점을 둔 라이프스타일이다.
흥미로운 점은 저속 노화에 가장 열광하는 세대가 팔팔한 2030세대라는 것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9∼23년) 20대 당뇨병 환자가 2019년에 비해 2023년 33.1% 증가했으며, 10대도 23.7%, 10대 미만도 25.9% 증가했다. 부모 세대가 50~60대에 경험했던 당뇨병·고혈압 같은 성인병을 젊은 세대가 10~20년 빨리 겪고 있는 현실이다.
전문가들은 연장된 수명만큼 병든 채 남은 생을 살아갈 수 있다는 위기감이 젊은 세대들의 저속 노화 트렌드에 불을 지피는 시발점이 되었다고 분석한다. 특히 '헬시 플레저' 트렌드와 맞물려 저속 노화에 대한 관심이 더 높아지고 있다. 헬시 플레저는 '건강한(healthy)'과 '기쁨(pleasure)'의 합성어로, 건강을 추구하는 동시에 즐거움을 잃지 않는다는 의미다.
노화는 26세부터 시작, 세포 손상 줄이는 예방적 접근이 핵심
노화는 우리 몸을 구성하는 분자와 세포에 결함과 손상이 점진적으로 축적되면서 발생한다. 자동차가 오랜 세월 운전할수록 부품 마모가 심해지듯, 우리 몸도 세포가 분열을 멈추고 서로 소통하지 못하게 되면서 외부에서 관찰되는 노화가 촉발된다.
미국 듀크대 댄 벨스키 교수팀의 연구에 따르면, 사람의 노화는 보통 26세부터 시작된다. 염색체 끝부분에 달린 텔로미어(Telomere·말단소체)는 세포분열을 거듭할수록 점점 짧아지는데, 사람의 경우 120년 정도면 더 이상 세포분열을 할 수 없게 된다. 이런 과학적 연구를 고려할 때, 20대부터 시작하는 '가치 지향적인' 저속 노화는 어쩌면 정해진 수순인지도 모른다.
과거 2000년대 '웰빙(Well-being)'과 2010년대 '안티에이징(Anti-aging)'이 각각 추상적 건강 개념과 외모 관리에 초점을 맞췄다면, 현재의 저속 노화는 건강 문제가 나타나기 전에 세포 손상을 줄여 노화 속도를 늦추려는 예방적 접근에 중점을 둔다.
지속 가능한 생활습관 개선으로 노화 속도 4분의 1까지 늦출 수 있어
MZ세대의 저속 노화 실천법은 이전 세대와 다르다. 틀에 맞추듯 엄격한 규칙을 따르기보다 놀이처럼 즐기듯 느슨한 방식의 운동, 식단, 수면 패턴을 조절한다. 운동량을 서서히 늘려가고, 수면 패턴이나 식습관을 천천히 개선해 지속 가능한 건강 관리를 해나가는 것이 특징이다.
전문가들은 식습관과 생활습관, 운동, 스트레스 관리 등으로 노화 속도를 4분의 1까지 늦출 수 있다고 말한다. 특히 저속 노화의 핵심은 건강한 식습관에 있다. 정제된 탄수화물과 당분 섭취를 줄이고, 단백질과 식이섬유를 적극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칼로리 제한은 필수 영양소는 충분히 섭취하면서 총 칼로리 섭취량을 줄이는 방법으로, 수명을 늘리고 노화 관련 질병을 지연시킬 수 있다.
꽃이 피는 것이 본성이라면 지는 것도 본성이다. 그렇더라도 무심코 보내는 하루하루의 생활은 노화를 앞당기는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 살아가는 동안 적절한 운동, 식이요법, 호르몬 대체요법 등을 통해 노화를 늦추는 것이 더 건강하게 노년 생활을 즐기는 비결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