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 SONOW
광복 80주년에 문화상품이 서울의 얼굴을 다시 그리다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의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는 K-팝과 한국적 모티프를 결합한 작품으로, 광복 80주년을 맞은 올해 서울의 이미지와 기념 방식을 새롭게 흔들었다. 단순한 오락물이 아니라, 애니메이션이 도시 공간과 관광 루트를 어떻게 재구성하는지를 보여주는 문화 실험장이 된 것이다.
관객들은 작품 속 장면을 따라 실제 도시 공간을 경험하고자 하며, 이는 서울의 대표 관광지 방문 패턴에도 가시적인 변화를 낳았다.
남산타워 집중 조명과 관광 흐름의 재편
작품 속 주요 무대로 등장한 남산타워는 SNS 인증샷 열풍과 함께 외국인 관광객 발길을 이끌며 단숨에 가장 주목받는 장소가 되었다. 반면, 롯데월드타워와 같은 현대적 랜드마크는 작품에서 의도적으로 배제되며 상대적 소외를 경험했다.
이는 도시 브랜딩에서 '보여주기'와 '숨기기'의 전략적 선택이 관광 경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콘텐츠 속 노출 여부가 실제 장소의 운명을 좌우하는 새로운 국면이 열린 것이다.
국립중앙박물관 굿즈 품절과 전시 방식의 변화
케데헌에 등장한 호랑이·까치 등 전통 모티프는 곧바로 국립중앙박물관 굿즈로 연결되었고, 기획상품관에서는 빠른 품절 현상이 나타났다. 이는 박물관을 단순 유물 전시 공간이 아닌, 소비·체험·교육이 결합된 복합 문화 플랫폼으로 확장시켰다.
젊은 관람객은 굿즈와 체험을 위해, 중장년층은 역사적 의미를 확인하기 위해 박물관을 찾으며, 다양한 세대가 각기 다른 동기로 같은 공간을 공유하는 장면이 연출되고 있다.
전통 유산과 대중문화가 공존하는 지속 가능한 기념 방식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륵반가사유상 같은 유물은 '느리게 보기'를 통해 소비적 관람을 넘어선 성찰적 시간을 제공한다. 대중문화의 속도와 전통 유산의 고요함이 조화를 이루며, 광복 80주년 기념은 소비와 성찰을 아우르는 새로운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결국 서울은 전통과 미래, 상업과 기억이 공존하는 도시를 설계해야 하며, 이는 도시 브랜드와 시민 삶의 질을 동시에 풍요롭게 만드는 과제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