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 SONOW
2023년 서연고 중도탈락 2481명, 2007년 통계 집계 이래 역대 최고치 경신
지난해 서울대·고려대·연세대에서 학교를 중도에 떠난 학생 수가 2481명으로 집계되어 관련 통계가 처음 공개된 2007년 이래 가장 많은 수치를 기록했다. 종로학원이 교육부 산하 대학정보공시사이트 '대학알리미'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는 전년도 2022년(2126명)보다 16.7%(355명) 증가한 규모다.
중도탈락에는 자퇴, 등록 포기, 복학 미이행, 유급 등 다양한 사유가 포함되며, 특히 2023년은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 발표로 2025학년도 입시부터 의대 정원이 대폭 확대되면서 상위권 학생들의 '반수(재입시)' 선택이 급증한 것으로 분석된다.
고려대 1054명으로 최다, 자연계·인문계 모두 이탈 증가세
대학별 중도탈락자는 고려대가 1054명으로 가장 많았고, 연세대 942명, 서울대 485명 순이었다. 전공계열별로는 자연계열 이탈이 1494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전년 대비 173명 증가했다. 인문계열 탈락자도 917명으로 같은 기간 154명 늘어나 계열을 가리지 않는 이탈 현상이 확인됐다.
학과별 세부 현황을 보면 서울대는 인문계열에서 자유전공학부(15명), 경제학부(12명) 순으로 탈락자가 많았고, 자연계에서는 간호학과(27명), 화학생물공학부(24명), 재료공학부(22명)가 높은 수치를 보였다. 고려대는 경영학과(71명)와 경제학과(29명)가 인문계 탈락을 주도했으며, 자연계에서는 전기전자공학부(65명)와 생명공학부(60명)에서 이탈이 집중됐다.
인문계 학생까지 의학계열 도전, 문이과 구분 없는 의대 쏠림 심화
종로학원 관계자는 '의대 증원 발표가 갑작스럽게 이뤄진 가운데 상위권 대학 학생들의 재도전이 급증했다'며 '탈락자 중 다수가 의학계열 진학을 염두에 두고 반수나 재수를 선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특히 최근에는 이과생들이 문과 상위권 학과로 진입하는 사례가 늘면서 경영·경제학과에서도 상당한 이탈이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더욱 주목할 점은 전통적으로 의대와 거리가 멀었던 인문계 학생들조차 의학계열 도전에 나서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그냥 돈 잘 버는 의사가 되고 싶다'는 실용적 동기와 함께, 의대 증원으로 상대적으로 입학 문턱이 낮아졌다는 인식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해석된다. 이러한 현상은 향후 몇 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 대학가의 학과 구조 재편과 교육 정책 전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