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차이나센터에서 열린 한중 AI 청년포럼 현장

출처 : SONOW

'중국 실리콘밸리' 항저우와 광주 AI 청년 만남

광주시가 중국 AI의 중심지인 항저우 저장대학교 전문가들을 초청해 '광주 인공지능(AI) 한·중 청년포럼'을 개최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포럼은 지역 청년인재들과 'AI로 연결된 광주와 중국, 청년의 상상력이 만드는 미래'를 주제로 의견을 나누는 소통의 장으로 마련됐다.

항저우는 '중국의 실리콘밸리'라 불리는 곳으로, 딥시크, 유니트리, 딥로보틱스 등 이른바 '항저우 육소룡' 기업을 비롯해 다수의 AI 혁신기업을 배출한 도시다. 특히 최근 ChatGPT에 필적하는 성능으로 화제를 모은 딥시크(DeepSeek)의 창립자 량원평이 바로 저장대학교 출신으로, 이 대학은 항저우 AI 인재육성을 이끄는 핵심 기관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포럼에는 저장대 컴퓨터과학기술대학 양이 교수를 비롯해 박사과정 1명, 석사과정 4명, 학부생 1명 등 중국 측 대표단 7명이 참가했다. 광주에서는 전남대, 조선대, 호남대, 광주과학기술원(GIST) 등 AI 관련 학과 대학생과 기업인 등 30여 명이 함께해 양국 청년 간 실질적인 기술 교류가 이뤄졌다.

저장대-GIST 교수진 기조강연과 청년 세션

포럼은 두 차례의 기조강연으로 시작됐다. 저장대 컴퓨터과학기술대학 양이 교수는 '튼튼한 기반 위에서 최첨단을 선도하다: 저장대학교 AI 인재양성과 중국형 로드맵'을 주제로, 중국 AI 교육의 현황과 글로벌 경쟁력 확보 전략을 소개했다.

GIST 김준하 교수는 'AI가 바꾸는 세상, 청년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4차 산업혁명 시대 AI 기술의 사회적 영향과 미래 인재가 갖춰야 할 역량에 대해 발표했다. 두 강연은 한중 양국의 AI 교육 철학과 접근법의 차이점, 그리고 공통점을 비교 분석할 수 있는 귀중한 기회를 제공했다.

이어 양국 대학생들이 직접 참여하는 ▲'청년의 시선으로 본 AI' ▲'우리가 상상하는 AI 미래' 등 2개의 세션이 진행됐다. 참가 학생들은 AI 윤리, 일자리 변화, 창업 기회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토론하며, 문화적 배경이 다른 청년들의 관점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글로벌 AI 네트워크 구축과 지역 인재 육성

이번 포럼은 단순한 일회성 행사를 넘어 광주와 항저우 간 지속적인 AI 협력 네트워크 구축의 출발점으로 평가된다. 특히 딥시크 같은 글로벌 AI 기업을 배출한 항저우의 경험과 노하우를 광주 지역 청년들이 직접 접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광주는 현재 AI 특화도시 조성을 위해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글로벌 수준의 AI 인재 육성이 핵심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중국 최고 수준의 AI 교육기관과의 교류는 지역 청년들의 국제적 안목과 기술 역량을 동시에 강화하는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조현호 국제교류담당관은 "해외 인재들과의 교류를 통해 지역 청년들이 글로벌 기술 동향에 대해 시야를 넓히고,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다양한 국제 교류 프로그램을 통해 광주가 아시아 AI 허브로 성장할 수 있는 인적 네트워크를 지속적으로 확장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