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엔비디아 피지컬 AI 플랫폼 개발 협력

네이버가 엔비디아와 피지컬 인공지능(AI) 플랫폼을 공동 개발한다고 발표했다.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은 31일 경북 경주에서 열린 젠슨 황 엔비디아 CEO와의 접견에서 이 같이 밝혔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엔비디아와 양해각서(MOU)를 교환하고, 현실 공간과 디지털 공간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차세대 피지컬 AI 플랫폼을 공동 개발하기로 했다. 반도체·조선·에너지 등 국가 주력 산업을 중심으로 AI 인프라를 구축해 산업 현장 AI 활용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이는 AI가 실제 산업 현장과 시스템 속에서 작동하는 피지컬 AI 시대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리는 신호탄으로 평가된다.

디지털 트윈-로보틱스 기술 융합 플랫폼 구현

양사는 네이버클라우드의 디지털 트윈·로보틱스 등 차세대 기술 역량과 엔비디아의 옴니버스(Omniverse), 아이작 심(Isaac Sim) 등 3D 시뮬레이션·로보틱스 플랫폼을 결합해 현실 산업 환경을 가상 공간에서 정밀하게 재현한다. AI가 분석·판단·제어를 지원하는 구조로 피지컬 AI 플랫폼을 구현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 플랫폼은 제조 현장의 복잡한 공정을 디지털 공간에서 시뮬레이션하고, AI가 실시간으로 최적화 방안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특히 조선업의 경우 대형 선박 건조 과정을 가상으로 재현해 설계 오류를 사전에 발견하고, 에너지 산업에서는 발전소 운영 효율을 극대화하는 데 활용될 예정이다.

소버린 AI 2.0 비전 실현의 첫 단계

네이버클라우드는 이번 협력이 자사가 제시한 '소버린 AI 2.0' 비전을 실제로 구현하기 위한 첫 단계라고 강조했다. 기존 소버린 AI가 자국 언어와 문화 중심 AI 모델과 생태계를 구축해 기술 주권 확보에 초점을 맞췄다면, 소버린 AI 2.0은 이를 국가 핵심 산업과 일상 전반으로 확장해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전한 개념이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이 비전을 구체화하기 위해 하이퍼클로바 X 모델 오픈소스 공개, 국가 AI 프로젝트 연계, AI 인재 양성 프로그램 운영 등을 추진한다. 산업·학계·연구기관 전반의 협력 생태계 조성에도 힘쓰고 있어, AI 기술의 국산화와 산업 적용을 동시에 추진하는 전략적 접근을 보여준다.

제조업 AI 혁신과 산업 경쟁력 강화 전망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이번 협력은 AI 기술이 산업 현장 생산성과 안전, 효율을 실질적으로 끌어올리는 '피지컬 AI 시대'의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네이버클라우드는 하이퍼스케일 AI 인프라와 클라우드 운영 역량을 기반으로 디지털 트윈과 로보틱스 기술을 결합해 산업 현장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국내 제조 산업의 AI 혁신을 함께 이끌어가는 신뢰받는 기술 파트너 역할을 수행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해진 의장도 "AI가 실제 산업 현장과 시스템 속에서 작동하는 피지컬 AI의 시대가 열리고 있다"며 "네이버는 AI와 클라우드 기술로 기업이 데이터를 더 잘 활용하고, 산업이 한 단계 더 도약하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더 많은 정보는디지털트윈 허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