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 SONOW
AI 개인화 경쟁의 새로운 전환점
구글이 AI 챗봇 제미나이에 사용자의 과거 대화를 기억하고 맞춤형 응답을 제공하는 혁신적인 기능을 도입했다. 13일(현지시간) 구글은 제미나이에 '퍼스널 컨텍스트(Personal Context)' 기능을 활성화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OpenAI의 ChatGPT, 앤트로픽의 Claude 등 경쟁사들이 이미 도입한 메모리 기능과 유사한 것으로, 구글도 본격적인 개인화 AI 경쟁에 뛰어든 것이다.
이번 기능 도입으로 제미나이는 사용자가 따로 지시하지 않아도 대화 속 핵심 정보와 선호도를 자동으로 파악해 개인화된 답변을 제시할 수 있게 됐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과거 제미나이를 통해 일본 문화를 주제로 유튜브 채널 아이디어를 얻었다면, 다음번 새로운 영상 아이디어를 요청할 때 일본 음식 체험 콘텐츠를 자동으로 추천하는 식이다.
구글은 이미 지난해 11월 사용자 개인 정보와 선호 사항을 기억하는 기능을 처음 도입했으며, 올해 2월에는 이전 대화를 기억하고 더 관련성 있는 답변을 제공하는 기능을 추가한 바 있다. 이번 퍼스널 컨텍스트는 이러한 기능들을 전면 확대하고 고도화한 것으로 평가된다.
구글은 이번 조치를 "사용자를 진정으로 이해하는 AI 비서로 발전하는 핵심 단계"라고 설명하며, AI 개인화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 의지를 명확히 했다.
사용자 제어권과 개인정보 보호 강화
새로운 퍼스널 컨텍스트 기능은 기본적으로 활성화되지만, 사용자가 원할 경우 언제든 비활성화할 수 있다. 설정 메뉴의 '퍼스널 컨텍스트' 항목에서 '제미나이와 과거 대화(Your past chats with Gemini)' 옵션을 끄면 기능을 중단할 수 있다.
하지만 구글의 접근 방식은 경쟁사들과 차이를 보인다. OpenAI나 앤트로픽과 달리, 구글은 사용자가 개별 선호 항목을 수정하거나 삭제하는 세부적인 제어 기능은 제공하지 않는다. 이는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는 대신 개인화의 정밀도를 우선시하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추가 조치도 함께 발표됐다. 구글은 기존 '제미나이 앱 활동(Gemini Apps Activity)' 설정명을 '활동 저장(Keep Activity)'으로 변경해 사용자의 이해도를 높였다. 또한 사용자들이 업로드한 파일과 사진 샘플을 서비스 개선에 활용한다고 밝혔으며, 이 역시 사용자가 원할 경우 비활성화할 수 있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새롭게 도입된 '임시 대화(Temporary Chats)' 기능이다. 이는 일회용 대화로 설계되어 대화 기록과 활동에 저장되지 않으며, 개인화에도 활용되지 않는다. 최대 72시간만 보관되어 자동 삭제되는 이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민감한 질문을 안전하게 던지거나, 이전 대화 내용의 영향을 받지 않는 순수한 응답을 받을 수 있다.
단계적 출시와 기술적 차별화 전략
구글은 이번 기능을 단계적으로 출시할 예정이다. 먼저 '제미나이 2.5 프로'부터 일부 국가에 우선 적용한 뒤, 몇 주 안으로 '제미나이 2.5 플래시'에 확대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이러한 단계적 접근은 기능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사용자 피드백을 반영하기 위한 전략으로 보인다.
구글의 퍼스널 컨텍스트는 경쟁사 대비 몇 가지 기술적 특징을 보인다. OpenAI의 메모리 기능이 사용자가 명시적으로 저장을 요청하거나 AI가 중요하다고 판단한 정보를 별도로 저장하는 방식이라면, 구글은 전체 대화 맥락을 지속적으로 분석해 자동으로 패턴을 학습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앤트로픽의 Claude는 메모리보다는 업무 연속성에 초점을 맞춘 접근을 보인다. 모든 대화에서 메모리가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요청할 때만 작동하는 선택적 방식이다. 반면 구글의 퍼스널 컨텍스트는 기본적으로 모든 대화에서 작동하는 통합적 접근을 취했다.
이러한 차이점은 각 회사의 AI 철학과 사용자 경험에 대한 관점 차이를 반영한다. 구글은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OpenAI는 사용자 제어권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앤트로픽은 업무 효율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각각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다.
AI 개인화 시장의 미래 전망
구글의 이번 움직임은 AI 개인화 시장의 경쟁이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음을 시사한다. 단순히 정보를 제공하는 AI에서 사용자를 깊이 이해하고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진정한 개인 비서로 진화하는 과정에서 각 회사들의 전략이 명확히 드러나고 있다.
특히 개인정보 보호와 개인화 사이의 균형점을 찾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구글의 임시 대화 기능은 이러한 딜레마를 해결하려는 시도로 평가된다.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개인화된 경험과 프라이버시 보호 사이를 선택할 수 있게 함으로써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는 전략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번 구글의 행보가 AI 개인화 경쟁을 더욱 치열하게 만들 것으로 전망한다. 특히 구글의 강력한 데이터 분석 역량과 다양한 서비스 생태계가 결합될 경우, 경쟁사들보다 더 정교하고 통합적인 개인화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러한 개인화 기능들이 궁극적으로는 각 회사의 AI 생태계 전반에 미치는 영향도 주목할 포인트다. 제미나이의 개인화 기능이 구글의 검색, 유튜브, Gmail 등 다른 서비스들과 연동될 경우, 사용자에게 훨씬 더 seamless하고 통합적인 AI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