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프로파일링과 사이버 보안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념 이미지

출처 : SONOW

전통적으로 범죄 수사에 활용되던 프로파일링 기술이 데이터 분석과 IT 보안 영역으로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 고객 행동 분석을 통한 광고·추천 알고리즘 최적화부터 로그인 패턴과 네트워크 트래픽 분석을 통한 해킹 탐지까지, 금융권과 전자상거래,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들이 이상행위 조기 탐지를 위한 필수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

고객 행동 분석으로 광고·추천 알고리즘 정교화

데이터 프로파일링의 가장 대표적인 활용 분야는 고객 행동 분석이다. 전자상거래 플랫폼들은 고객의 클릭 패턴, 구매 이력, 검색 키워드, 체류 시간 등을 종합 분석해 개인별 선호도와 구매 가능성을 예측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맞춤형 광고 노출과 상품 추천 알고리즘에 직접 활용된다. 고객이 언제, 어떤 카테고리의 상품을 주로 구매하는지, 어떤 브랜드를 선호하는지, 가격대는 어느 정도인지 등의 패턴을 파악해 최적의 타이밍에 적절한 상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는 고객 만족도 향상과 동시에 기업의 매출 증대로 이어진다.

로그인 패턴 분석으로 계정 해킹 시도 차단

IT 보안 분야에서는 사용자의 평소 로그인 패턴을 분석해 이상행위를 탐지하는 기술이 핵심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사용자가 주로 접속하는 시간대, 위치, 기기, 브라우저 등의 정보를 수집해 정상적인 접속 패턴을 학습한다.

만약 평소와 다른 국가에서 접속하거나, 새로운 기기에서 로그인을 시도하거나, 비정상적인 시간대에 접속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추가 인증을 요구하거나 접속을 차단한다. 특히 금융권에서는 이러한 행동 기반 인증 시스템을 통해 계정 탈취나 피싱 공격을 효과적으로 방어하고 있다.

네트워크 트래픽 분석으로 사이버 공격 조기 탐지

기업들은 네트워크 트래픽 패턴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사이버 공격을 조기에 탐지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평소 네트워크 사용 패턴과 비교해 비정상적인 데이터 전송량이나 접속 시도가 감지되면 즉시 경고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특정 서버로 대용량 데이터가 한꺼번에 전송되거나, 외부의 알려지지 않은 IP에서 지속적인 접속 시도가 발생하거나, 평소보다 비정상적으로 많은 파일 접근이 일어나면 데이터 유출이나 해킹 시도로 판단해 차단 조치를 취한다.

금융권의 이상 거래 탐지와 실시간 모니터링

금융기관들은 고객의 거래 패턴을 분석해 이상 거래를 실시간으로 탐지하는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평소 거래 금액, 거래 시간, 거래 지역, 사용 가맹점 등의 패턴을 학습해 정상 범위를 설정한다.

갑자기 대금액 거래가 발생하거나, 해외에서 카드가 사용되거나, 평소 이용하지 않던 업종에서 결제가 이뤄지면 자동으로 문자나 앱 푸시를 통해 고객에게 확인 요청을 보낸다. 더 나아가 명백히 의심스러운 거래는 즉시 차단하고 고객에게 연락해 카드 재발급 등의 조치를 안내한다.

클라우드 서비스의 보안 위협 대응과 미래 전망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들은 사용자들의 파일 접근 패턴, 서버 리소스 사용량, API 호출 빈도 등을 종합 분석해 보안 위협을 탐지한다. 특히 랜섬웨어나 악성코드 감염 시 나타나는 특징적인 행동 패턴을 사전에 학습해 조기 차단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데이터 프로파일링 기술은 이제 디지털 세상의 면역 체계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 수많은 정상적인 행동 데이터 속에서 악의적인 이상행위를 구별해내는 것이 핵심이다

사이버 보안 전문가

향후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기술의 발전으로 더욱 정교한 행동 패턴 분석이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동시에 개인정보 보호와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어, 기술 발전과 함께 적절한 규제와 윤리 기준 마련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