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자 통계 그래프와 노인 실루엣

출처 : SONOW

한국이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를 넘어서며 초고령사회에 첫 진입했으나, 고령층의 경제적 빈곤 문제가 OECD 최악 수준으로 드러나 사회적 대비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25년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올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1,051만 4천명으로 전체 인구의 20.3%를 차지해 사상 처음 20%를 돌파했다.

2000년 고령화사회 진입 후 25년 만에 초고령사회 도달

한국은 2000년 고령화사회 진입, 2017년 고령사회 진입에 이어 불과 8년 만에 초고령사회로 발전했다. 고령인구 증가세는 더욱 가파르다. 지난해 993만명에서 1년 사이 58만여명이 늘어나며 처음으로 1천만명을 넘어섰다.

생산가능인구(15~64세) 100명이 부양해야 하는 노인 수를 나타내는 노년부양비도 29.3%로 급등했다. 지역별로는 전남이 27.4%로 가장 높았고, 경북 26.1%, 강원 25.7%가 뒤를 이었다. 반면 서울 19.9%, 경기 17%, 인천 18.2% 등 수도권은 아직 20%에 못 미쳤다.

노인빈곤율 39.8%로 OECD 33개국 중 1위 기록

더 심각한 문제는 66세 이상 은퇴연령층의 상대적 빈곤율이 39.8%에 달해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다는 점이다. 이는 2022년 기준으로도 OECD 33개국 중 1위를 기록한 수치다. 각종 연금을 합쳐도 평균 70만원에 못 미치고, 자산은 부동산에 80% 이상 편중되어 있어 실질적인 소비 여력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 때문에 65세 이상 고령자의 57.6%가 일하기를 희망하며, 이 중 51.3%는 '생활비 보탬'을 주된 이유로 꼽았다. 경제적 어려움은 삶의 만족도로도 이어진다. 지난해 65세 이상 고령자 중 자신의 삶에 만족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35.5%로 전체 인구 평균 40.1%보다 크게 낮았다.

2072년 47.7% 전망, 구조적 대책 마련 시급

고령인구 비중은 앞으로도 지속 증가해 2036년 30%, 2050년 40%를 넘어설 전망이다. 2072년에는 47.7%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어 생산가능인구 감소와 사회적 부양 부담이 더욱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내년 노인일자리를 역대 최대 규모인 109.8만개 제공하고 예산도 2조 1,847억원으로 확대한다고 밝혔으나, 구조적 빈곤 해결을 위한 보다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