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 SONOW
희림, 캄보디아 대형 수주 배경…특검 압수수색 돌입
희림종합건축사무소(이하 희림)는 최근 윤석열 정부의 경제사절단 동행 이후 캄보디아 신공항 프로젝트 등 대형 해외사업을 잇따라 수주하며 '정권 특혜' 의혹에 휩싸였다. 2023년 1월 아랍에미리트(UAE) 순방을 시작으로, 4월 미국, 6월 베트남 등 대통령 해외 순방 경제사절단에 연속 동행한 직후, 140억원 규모의 프놈펜 신공항 PMC(Project Management Consultant) 계약을 체결했다. 특검팀은 2025년 7월 서울 강동구 소재 희림 사무실을 압수수색하며, 경제사절단 선발 경위와 캄보디아 사업 확대의 구체적 연관성을 집중 조사했다.
압수수색 대상에는 글로벌사업본부, 임원실 등 주요 부서가 포함됐으며, 캄보디아 프로젝트 관련 문서와 PC 파일, 참고인으로 지목된 사업부문 대표의 노트북까지 세밀히 확인됐다. 특검은 특히 대통령실과의 정책 연계성, 해외사업 확장 과정에서 통일교와 건진법사 연루설 등 각종 이해관계자들의 관여 여부를 주목하고 있다.
"희림은 2019년부터 프놈펜 공항 PMC 용역을 수주한 이력이 있고, 이번 대형 계약은 역량 인정 결과일 뿐 특정 정권과 무관하다"는 것이 회사 공식 입장이다.
경제사절단 동행·정부 지원 확대…정책·이해관계자 연계 구조 분석
특검이 문제 삼는 핵심은 대통령 경제사절단 동행과 정부의 정책적 지원 확대가 희림의 해외사업 수주에 실질적 영향을 미쳤는지다. 실제로 캄보디아 공항 투자사(CAIC)와의 140억원대 계약은 대통령 순방 직후 성사됐다. 더욱이 2022년 6월 정부가 캄보디아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차관 한도를 기존 7억달러에서 15억달러(2조767억원)로 두 배 이상 확대, ODA(공적개발원조) 사업 수주 진입 장벽이 크게 낮아졌다.
이 시점에 맞춰 통일교 핵심 간부 윤모씨가 건진법사 전성배씨를 매개로 정부 및 주요 업체에 청탁을 시도, 김건희 여사에게 고가의 선물을 전달했다는 진술까지 나왔다. 실제 문자 메시지 등에서는 "희림과 함께 큰 그림을 그리자"는 구체적 언급이 발견돼, 프로젝트 배정에 개입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희림은 이에 대해 "특정 정권의 후광이나 청탁과는 무관하다"며, 문재인 정부 시기에도 대규모 공공수주(2,300억원 규모)를 달성했고, 역대 7차례 대통령 순방 기업에 선정되는 등 객관적 역량이 입증됐다고 반박한다.
특혜 논란의 구조와 쟁점…공공수주 증가와 연관성
윤 전 대통령 취임 이후 희림의 정부 관련 공사 수주액은 2022년 5월~2024년 9월 약 1,800억원으로, 취임 전 3년 반 동안(600억원)의 3배에 달한다. 이처럼 단기간에 공공부문 수주가 급증한 배경엔 경제사절단 동행·정부 정책 변화 외에도, 캄보디아 등 개발도상국 ODA 사업에 대한 국내 기업의 진출 지원 정책이 맞물린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통일교·건진법사 등 비선 실세와의 연결 고리, 김건희 여사 운영 코바나컨텐츠 후원업체 선정 이력 등은 특검의 핵심 수사 쟁점으로 남아 있다. 이해관계자들은 희림이 실질적으로 특혜를 누렸는지, 혹은 오랜 해외사업 경험과 정책 변화가 맞물린 결과인지에 대한 공방을 이어가고 있다.
전망과 시사점: 제도적 투명성·공정성 강화가 관건
캄보디아 신공항 사업 등 대형 ODA 수주 사례는 향후 국내 건설업계의 해외 진출 확대에 긍정적 신호를 줄 수 있다. 그러나 이번 사건은 대통령실·정부 정책·민간기업 간 경계, 비선 실세 관여 의혹 등 구조적 투명성 이슈를 다시 제기한다. 향후 특검 수사 결과에 따라 관련 제도 개선 및 공공수주 투명성 강화, 경제사절단 선발 기준의 재정립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핵심은 정부-민간 협력의 선순환 구조 구축과 함께, 이해관계 충돌·특혜 의혹을 차단할 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는 데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