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나스닥 상장사 중심으로 솔라나 금고가 급증한다

최근 공개 자료와 보도에 따르면 일부 나스닥 상장사가 솔라나(SOL) 보유고를 공격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과 병행하거나 결제 시스템에 SOL을 통합하는 사례가 확인되며, 기업형 디지털 자산 전략이 ‘현금·단기채+크립토’로 다변화되는 양상이다.

특정 기업은 수억 달러 규모의 SOL을 재무금고에 편입했고, 교육·헬스케어 등 전통 산업에서도 소액이지만 결제 수단으로 SOL을 수용하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이는 트래픽 많은 서비스 사업자가 웹3 결제의 사용자 경험을 시험하며 브랜드 차별화와 개발자 생태계 유인 효과를 기대한다는 의미다.

투자·유동성·스테이킹을 결합한 ‘기업형 솔라나 전략’의 3가지 축

첫째, 투자 배분. 일부 기업은 내부 금고에서 SOL을 장기 보유 자산으로 배분한다. 변동성은 크지만 네트워크 성장과 수수료 수익 모델을 고려해 기술 포트폴리오의 한 축으로 인정한다는 판단이다.

둘째, 유동성 관리. OTC·거래소·장외 호가를 혼합해 체결 리스크를 낮추고, 금고 보유분은 프라임 브로커·커스터디와 연동해 지갑·승인 체계를 분리한다. 이를 통해 회계·감사 시점의 평가 손익 인식과 내부통제 요건을 충족하려는 흐름이 보인다.

셋째, 스테이킹·리퀴드 스테이킹. 스테이킹으로 보상을 추구하되, 락업에 따른 유동성 제약을 LST(Liquid Staking Token)로 완화하는 방식을 채택한다. 이때 스마트컨트랙트 리스크, 슬래싱 가능성, 보상 회계처리 기준을 사전에 정의하는 것이 핵심이다.

전망: 규제·회계 기준 정합성, 결제 UX, 네트워크 수수료가 관건

향후 3–6개월은 세 가지 포인트가 성패를 가른다. 첫째, 규제·회계. 지역별 디지털 자산 회계 처리 기준이 정교해질수록 기업 금고의 변동성 인식과 공시 관행이 표준화될 것이다. 둘째, 결제 UX. 지갑 생성·수수료 대납·리워드 연동이 쉬워질수록 실사용이 늘고, 금고의 전략적 가치는 커진다. 셋째, 네트워크 성능·수수료. 혼잡 구간에서의 처리 안정성과 저비용이 유지되어야 기업 사용자의 신뢰가 지속된다.

요약하면, 나스닥 상장사를 포함한 일부 기업의 솔라나 금고 확대는 단기 이벤트가 아니라 운영·재무를 아우르는 전략 실험 단계다. 결제·스테이킹·유동성 관리가 균형을 이룰 때, 기업형 웹3 도입은 다음 국면으로 넘어갈 수 있다.

더 많은 정보는코인 허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