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가 AI 경쟁에서 뒤처지느니 “수십억 달러를 잘못 쓰는 편이 낫다”고 말했다. 팟캐스트 인터뷰에서 그는 AI 인프라 과잉 구축과 역사적 거품 가능성을 인정하면서도, 구축 속도가 느려 기회를 놓치는 리스크가 더 크다고 주장했다.

논지: 속도·스케일이 리스크 관리

저커버그는 초거대 모델과 데이터센터는 선점 효과가 크기 때문에 선제적 투자가 합리적이라고 설명했다. 일정과 마감이 강제되지 않는 “평평한 연구조직” 운영을 언급하며, AGI/슈퍼인텔리전스 달성 시점을 단정하지 않고 유연한 실험을 강조했다.

인프라: 2028년까지 미국 중심 대규모 집행 언급

미국 내 데이터센터·전력·인력을 포함한 인프라 집행 계획을 옹호했다. 그는 민간 연구소 대비 메타는 광고 수익 기반의 안정적 현금흐름으로 조달 여건이 유리하다고 주장했다.

거품 논쟁에 대한 입장

철도·닷컴 사례처럼 거품 가능성을 인정하되, 기술 S-커브의 초반 구간에서는 과투자가 구조적 전환을 앞당기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의미: 빅테크 ‘선제 구축’ vs 수익성 검증

메타의 기조는 선제 구축에 방점이 찍혀 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①전력·냉각·건설 등 데이터센터 밸류체인, ②모델-서비스 상용화로 현금흐름 가시성을 빠르게 확보하는 플랫폼, ③규모의 경제가 큰 광고·리코멘더 모듈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면책: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조언이 아니다.

더 많은 정보는TECH & AI 허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