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 A01 자율주행 셔틀과 청계천 운행 구간

출처 : SONOW

서울시는 오늘 공식적으로 첫 번째 완전 무인 자율 셔틀 서비스를 시작하며, 대한민국의 차세대 도시 모빌리티를 향한 중요한 이정표를 세웠다. 청계 A01은 오늘 오전 서울의 역사적인 청계천을 따라 대중 운행을 시작했으며, 운전석이나 핸들이 없는 국내 최초의 상업용 자율주행 버스를 선보였다.

광화문-광장시장 4.8km 구간, 11개 정류장 30분 간격 운행

세련된 9인승 차량은 광화문역 인근 청계광장에서 광장시장 청계5가까지 연결되는 4.8킬로미터 순환 노선을 따라 운행하며, 양방향 모두 총 11개의 지정 정류장에 정차한다. 이전의 자율주행 버스들이 비상 시 운전자 개입을 위해 운전석을 유지했던 것과 달리, 청계 A01은 무선 조종기를 장착한 안전요원만 탑승하여 운행된다.

셔틀버스는 평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 50분까지 30분 간격으로 운행되며, 정오부터 오후 1시까지는 점심시간으로 운행이 중단된다. 주말 및 공휴일에는 청계천 도로가 차 없는 거리로 변할 때 운행이 중단된다. 운행 초기에는 무료로 이용할 수 있지만, 승차 시 교통카드를 태그해야 한다.

국내 스타트업 오토너머스 A2Z 개발, 첨단 센서 시스템 탑재

국내 스타트업인 오토너머스 A2Z가 개발한 이 전기 셔틀은 8명의 승객이 앉을 수 있는 U자형 좌석 배치와 휠체어 접근성을 제공하며, 주변 보행자와 차량에 대한 실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대형 디스플레이 화면을 갖추고 있다. 이 시스템은 장애물 감지와 안전한 교통 상황 탐지를 위해 카메라, 라이다 센서, 레이더를 활용하며, 보행자 통행이 많은 지역 특성상 시속 20킬로미터의 신중한 속도로 운행된다.

초기 시승 기간 동안 자율 시스템은 능력과 한계를 모두 보여줬다. 코리아 헤럴드의 보도에 따르면, 셔틀은 일상적인 경로 탐색은 원활하게 처리했으나, 불법 주차된 오토바이나 교차로를 막는 차량 등 복잡한 교통 상황에서는 수동 개입이 필요했다고 한다. 안전 요원이 태블릿으로 카메라 화면을 모니터링하며 조이스틱 컨트롤러로 개입하였다.

2026년 말 요금제 도입, 전국 확산 및 해외 진출 계획

서울시는 2026년 말에 타 대중교통과 연계 할인 혜택이 포함된 요금제를 도입할 예정이다. 여장권 서울시 교통국장은 서울 전역에서 첨단 자율주행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선보이고, 대한민국 자율주행 기술의 세계적 경쟁력을 입증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며 그 의의를 강조했다. 시는 향후 심야 시간대 운행, 노선 연장, 궁극적으로 완전 무인 운행까지 확대를 계획하고 있다.

이번 출시는 LG유플러스가 최근 부산 오시리아 관광단지에서 자율주행 버스를 운행하기 시작하는 등, 국내 자율주행차 상용화 흐름과 궤를 같이한다. 743,000km 이상의 시험 운행 실적을 보유한 자율주행에이투지(Autonomous A2Z) 역시, 올 APEC 정상회의가 열리는 경주에서 자율주행 차량을 운행할 준비를 하면서 싱가포르, 아랍에미리트(UAE), 일본으로의 해외 진출도 확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