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옵티머스 휴머노이드 로봇 시연 장면

출처 : SONOW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가 회사의 미래 가치 80%가 전기차가 아닌 옵티머스 휴머노이드 로봇에서 나올 것이라고 선언했다. 이는 테슬라 미국 전기차 시장점유율이 38%로 급락하며 8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상황에서 나온 과감한 전략적 대전환이다.

미국 EV 점유율 80%→38% 급락, 8년 만에 최저치 기록

코스 오토모티브(Cox Automotive) 데이터에 따르면 테슬라의 미국 전기차 시장점유율은 8월 38%로 떨어졌다. 이는 한때 80%를 넘었던 점유율에서 절반 이하로 급락한 것으로, 2017년 10월 이후 처음으로 40% 아래로 떨어진 수치다.

특히 미국 내 전기차 전체 판매가 6월에서 7월 사이 24% 급증한 반면, 테슬라의 성장률은 8월 고작 3.1%에 그쳤다. 이는 전체 시장의 14% 확장률과 비교해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그들이 자신들을 로보틱스 및 AI 기업으로 재정의하고 있다는 점은 이해하지만, 자동차 제조사로서 새로운 제품을 출시하지 않는다면 시장 점유율의 하락은 불가피하다

스테파니 발데즈 스트리티, 콕스 오토모티브

2025년 수익 30% 감소 전망, 글로벌 판매도 타격

테슬라의 어려움은 글로벌로 확산되고 있다. 2025년 유럽 판매는 40% 감소했고, 중국 판매 역시 6% 줄어들었다. 회사는 2025년 수익이 거의 30%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발표했다.

테슬라는 2023년 사이버트럭 이후로 주요 신차를 출시하지 않아 분석가들은 자동차 부문 제품 라인업이 정체되고 있다고 평가한다. 이러한 상황이 머스크의 9월 1일 X(구 트위터) 발표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월스트리트 목표주가 71% 상향, 2035년 3000달러 전망도

투자자들은 테슬라의 AI 비전에 긍정적으로 반응하고 있다. 베어드는 9월 19일 테슬라 등급을 '아웃퍼폼'으로 상향 조정하고 목표 주가를 320달러에서 548달러로 71% 올렸다.

애널리스트 벤 칼로는 테슬라가 '실물 AI 분야의 리더'라며 로봇 기술 목표 달성 시 2035년까지 주가가 3000달러에 이를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골드만삭스 역시 목표 주가를 300달러에서 395달러로 상향했다.

머스크는 옵티머스가 테슬라 시가총액을 25조 달러로 끌어올릴 수 있으며, 로봇 사업 기회만으로도 10조 달러 가치를 지닐 수 있다고 전망한다고 밝혔다.

2030년 연간 100만대 생산 목표, 핵심 인재 유출은 변수

테슬라는 옵티머스 로봇에 대해 공격적인 목표를 설정했다. 2025년 말까지 자사 공장에 수천 대 배치, 2030년까지 연간 100만 대 생산이 목표다. 로봇 가격은 2만~3만 달러로 책정될 예정이다.

하지만 핵심 인재 유출이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옵티머스 프로젝트 AI 팀장 아시쉬 쿠마르가 9월 19일 메타로 이직한다고 발표했다. 쿠마르는 재정적 이유가 아닌 다른 요인으로 이직한다며 '테슬라에서의 재정적 상향 가능성이 훨씬 더 컸다'고 밝혔다.

로봇 시장에서는 보스턴 다이내믹스 같은 기존 강자와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오픈AI가 지원하는 Figure AI 등 신흥 경쟁자들과의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