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AI 연구개발 시설 모습

출처 : SONOW

삼성전자, 국내 AI 경쟁력 압도적 1위…6개 부문 모두 최상위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10일 발표한 국내 AI 경쟁력 종합 평가에서 삼성전자가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이번 조사는 AI 관련 특허와 논문 실적 상위 191개 기업을 대상으로 기술력, 특허 활동, 학술 활동, 연구 영향력, AI 기술인력, AI 전공인력 등 6개 부문을 평가했다.

삼성전자는 특허 등록 1079건, 특허 피인용 1347회, 논문 등재 59건, 논문 인용 315회, AI 기술인력 5만872명, AI 전공인력 2만8058명 등 조사 대상 각 항목에서 최상위권의 성과를 기록하며 600점 만점을 달성했다. 이는 반도체, 스마트폰, 가전 등 관련사업 전 부문에서 AI 기술투자 비중이 높은 결과로 분석된다.

네이버 학술 강점으로 2위, LG 특허 경쟁력으로 3위

2위를 차지한 네이버는 논문 등재 25건과 인용 247회 등 학술 부문에서 강점을 보이며 국내 최고 수준의 AI 연구 역량을 증명했다. 글로벌 AI 학회 논문 등재에서 특히 두각을 나타내며 AI 기술인력 2113명, 전공인력 838명을 보유해 국내 최대 규모의 연구 인력을 확보한 것으로 조사됐다.

3위에 오른 LG는 특허 등록 400건, 피인용 529회와 논문 19건 모두에서 탄탄한 경쟁력을 입증했다. LG의 경우 LG그룹 내 AI 연구를 총괄하는 LG AI연구원과 사업을 담당하는 LG전자의 역량을 합산해 평가했으며, AI 기술인력 7958명, 전공인력 3006명을 기록했다.

업종별 AI 경쟁력 현황, 크래프톤·카뱅·루닛 등 주목

업종별로는 각 분야에서 특화된 강점을 보이는 기업들이 두각을 나타냈다. 게임 업계에서는 크래프톤이 논문 12편(인용 64회)으로 독보적인 연구 역량을 증명했으며, 통신 3사 중에서는 KT가 특허 80건, 논문 3편 등 고른 성과로 선두를 차지했다.

바이오·헬스케어 업종에서는 루닛이 특허 54건(피인용 57회)과 650명의 AI 기술·전공인력으로 대표기업으로 자리매김했고, 금융업계에서는 카카오뱅크가 특허 41건과 373명의 기술인력을 확보한 것으로 조사됐다. AI 영상 인식 스타트업 스트라드비젼은 특허 145건으로 기술력을 검증받았다.

글로벌 빅테크와의 격차 여전히 커, 범국가적 투자 필요

그러나 국내 기업들의 글로벌 AI 경쟁력은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 3대 AI 학회 논문 등재수 조사 결과, 알파벳(구글) 820건, 마이크로소프트 414건, 메타 385건, 아마존 273건 등 미국 빅테크들이 압도적인 성과를 보였다.

국내 기업 중에서는 삼성전자(59건·12위), 네이버(25건·30위), LG(19건·40위) 등 3개사만이 상위 50위권에 포함됐다. 논문 인용 수 기준으로는 격차가 더욱 벌어져 삼성전자(39위)와 네이버(47위)만이 세계 50위권에 들었다. 이는 개별 기업뿐만 아니라 범국가적 차원에서 AI 경쟁력 강화를 위한 투자와 정책지원이 절실함을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