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 SONOW
국무회의·과기부 심의 완료…6000억 규모 본격 추진
광주 인공지능(AI) 2단계 사업인 'AX(인공지능전환) 실증밸리 조성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사업으로 최종 확정됐다. 광주시에 따르면 지난 22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총괄위원회 심의를 통과함으로써 공식적인 사업 승인 절차가 완료됐다.
이번 사업은 앞서 지난 18일 제37회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바 있으며,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의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를 거쳐 총 6000억원 규모로 2026년부터 5년간 본격 추진된다.
광주는 지난 5년간 AI 1단계 사업으로 4300억원을 투입해 국가AI데이터센터, 대형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등 기반 인프라를 구축했다. 2단계 사업은 이러한 토대 위에서 실질적인 AI 활용과 산업 전환에 중점을 둔 차세대 프로젝트로 평가받고 있다.
모빌리티·에너지 중심 3대 분야 AX 전환
AX 실증밸리 조성사업은 ▲모빌리티·에너지 등 지역 전략산업 AX ▲시민 체감형 도시·생활 혁신 ▲AX 핵심 인프라 조성 등 3대 분야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특히 시민의 일상생활과 도시문제에 AI를 직접 도입하는 데 중점을 둬, 기존의 기술 개발 중심에서 실생활 적용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한다.
주목할 점은 '모두의 AI' 구현을 위한 광주형 AI 개발 추진이다. 이는 모든 시민이 AI 기술의 혜택을 체험하고 공유할 수 있는 포용적 AI 생태계 구축을 의미한다. 일상 전반을 바꾸는 시민 체감형 도시·생활과제도 함께 추진돼, AI가 시민 삶의 질 향상에 직접 기여하는 선도 모델을 만들어간다는 계획이다.
광주시는 2단계 사업을 대형과제 중심으로 기획해 실질적인 성과 창출에 집중하고, 지역 기업들의 폭넓은 참여를 지원할 방침이다. 1단계 사업 성과와 첨단3지구 AI지식산업센터 건립 등 기반시설을 바탕으로 AI융복합기업 1000개사 집적을 목표로 설정했다.
실증 중심 성과창출과 지역경제 파급효과
특히 3375개 공공시설을 'AX 실증랩'으로 개방하고, 48개 혁신기관의 연구장비 3879종을 기업에 제공해 실증 중심의 성과 창출을 도모한다는 점이 눈에 띈다. 이는 연구개발에서 실증, 상용화까지 이어지는 완전한 AI 생태계 구축을 의미한다.
광주시는 2단계 사업으로 ▲생산유발 9831억원 ▲부가가치유발 4942억원 ▲고용유발 6281명 등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는 사업비 6000억원을 넘어서는 경제적 파급효과로, 광주가 명실상부한 AI 중심도시로 자리잡는 데 핵심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광주는 앞으로 '국가 인공지능 집적단지' 지정과 'AI 규제자유특구' 지정을 추진해 연구개발과 실증이 자유롭게 이뤄질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국가 AI컴퓨팅센터' 유치에도 나서 AI 인프라를 더욱 강화해 나간다는 구상이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1단계 사업이 인프라와 인재를 구축하는 기간이었다면, 2단계는 시민이 체감하는 'AI 실증도시 광주'를 실현하는 시기"라며 "대통령의 약속처럼 광주를 최고의 인공지능 도시로 만들고, 국가AI컴퓨팅센터 유치에도 총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