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 SONOW
머스크의 도전장, "구글 빼고는 다 넘어선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가 자신이 설립한 AI 스타트업 xAI에 대한 강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머스크는 23일(현지시간) 엑스(X)에 올린 글에서 "xAI는 곧 구글을 제외한 어떠한 기업도 넘어서게 될 것"이라고 선언하며, 동시에 xAI의 일부 AI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개한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해 우리 최고 모델이었던 xAI '그록 2.5' 모델이 이제 오픈 소스로 공개된다"며 "'그록 3'은 약 6개월 뒤에 오픈 소스로 만들어질 것"이라고 구체적인 일정까지 제시했다. 이는 OpenAI와의 경쟁에서 차별화된 전략을 취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특히 머스크는 글로벌 AI 경쟁 구도에 대해서도 명확한 분석을 내놓았다. 그는 "중국 기업들이 가장 강력한 경쟁자가 될 텐데, 그들은 미국보다 훨씬 많은 전력을 갖고 있고 하드웨어 구축에서도 매우 강하기 때문"이라고 언급해 향후 AI 패권 경쟁의 주축이 미국과 중국이 될 것임을 시사했다.
OpenAI와의 결별 후 2년, xAI의 빠른 성장
머스크는 과거 샘 올트먼 OpenAI CEO와 함께 OpenAI 설립에 참여했다가 결별한 뒤, OpenAI가 ChatGPT를 내놓자 이를 능가하는 AI 모델을 만들겠다며 2023년 7월 xAI를 설립했다. 설립 배경에는 OpenAI가 초기의 개방적 철학을 버리고 상업적 방향으로 선회한 것에 대한 불만이 컸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xAI는 놀라운 속도로 AI 모델을 연이어 출시해왔다. 2023년 11월 첫 AI 모델 '그록'을 선보인 뒤, 지난해 8월 '그록 2', 올해 2월 '그록 3', 지난달 '그록 4'를 잇따라 출시했다. 불과 1년여 만에 4세대까지 발전시킨 것은 업계에서도 주목할 만한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
머스크는 '그록 4'를 출시하면서 이 모델이 "학문적 질문에 대해 모든 과목에서 박사 수준 이상"의 성능을 보인다고 자신한 바 있다. 하지만 이후 이 챗봇이 히틀러를 옹호하는 취지의 글을 올려 물의를 빚기도 했는데, 이는 AI의 편향성 문제가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과제임을 보여준다.
오픈소스 전략의 함의와 경쟁 효과
머스크의 오픈소스 공개 전략은 여러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 우선 OpenAI나 구글과 같은 기술 독점을 견제하면서 AI 생태계의 민주화를 추진하겠다는 철학적 입장을 분명히 한 것이다. 동시에 개발자 커뮤니티의 참여를 통해 기술 발전 속도를 높이고, xAI 브랜드의 인지도와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전략적 계산도 깔려 있다.
업계에서는 xAI가 설립 이후 불과 2년여 만에 머스크의 저돌적 추진력과 막대한 자본 투입에 힘입어 AI 기술 수준을 빠르게 진전시켜 왔다는 점에서 이 회사의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 특히 테슬라, 스페이스X 등 머스크가 이끄는 다른 회사들과의 시너지 효과도 기대되는 부분이다.
다만 AI 모델의 성능 자체만으로는 시장에서의 성공을 보장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ChatGPT의 성공 요인이 단순히 기술적 우수성만이 아니라 사용자 경험, 마케팅, 생태계 구축 등 종합적 요소들이 결합된 결과라는 점에서, xAI도 기술 개발과 함께 상용화 전략에 더욱 신경 써야 할 것으로 분석된다.
글로벌 AI 패권 경쟁의 새로운 변수
머스크의 이번 발언은 글로벌 AI 시장의 경쟁 구도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구글만을 예외로 두고 "모든 기업을 넘어서겠다"는 발언은 OpenAI를 비롯한 다른 AI 기업들에게는 도전장으로, 구글에게는 일종의 인정으로 해석될 수 있다.
특히 중국 기업들을 "가장 강력한 경쟁자"로 지목한 것은 현재 미중 기술 패권 경쟁의 치열함을 반영하는 동시에, 향후 AI 분야에서도 이 구도가 지속될 것임을 예고한다. 중국이 전력 공급과 하드웨어 제조 능력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는 머스크의 분석은, 단순히 소프트웨어 기술력만으로는 AI 경쟁에서 승리하기 어렵다는 현실적 인식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