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 SONOW
현황·배경: APEC, 디지털·AI로 첫 공동 테이블
8월 4일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 APEC 디지털·AI 장관회의는 아·태 21개 회원국 장관급 인사가 처음으로 인공지능과 디지털 전환을 단독 의제로 논의한 역사적 자리다. 의장을 맡은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AI가 주도하는 대전환의 ‘커밍 웨이브’에 어떻게 대응하느냐가 미래를 결정할 것”이라며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했다.:contentReference[oaicite:0]{index=0} 회의는 △혁신 △연결 △안전 등 세 개 세션으로 구성됐고, 딥페이크·허위정보·디지털 격차 해소·클라우드 인프라 투자 확대가 핵심 의제로 다뤄졌다. 마이클 크라치오스 미국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장, 쑹지준 중국 공업정보화부 차관, 막수트 샤다예프 러시아 디지털통신부 장관 등 거물급 인사가 참석해 ‘신뢰·포용·안전’에 공감대를 형성했다.:contentReference[oaicite:1]{index=1}
협상의 결실은 APEC 디지털·AI 공동선언문이다. 선언에는 ▲보편적이고 의미 있는 디지털 연결성 확장 ▲AI 윤리·안전 기준 국제공조 ▲데이터 이동·사이버 보안 협력 강화 등이 담겼다. 특히 미국·중국이 AI 거버넌스 원칙에 합의하며 “디지털 진영 대결 완화의 신호탄”이라는 평가를 받았다.:contentReference[oaicite:2]{index=2}
심층 분석: ‘혁신·연결·안전’ 3대 의제의 함의
① 혁신 – 회원국들은 AI·데이터·클라우드가 경제 생산성을 끌어올리고 사회 문제 해결의 도구가 될 수 있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한국이 제시한 ‘경제·사회 문제 해결형 AI 프로젝트 펀드’ 구상은 저개발 회원국의 스타트업에게 GPU 리스와 데이터 라벨링 바우처를 제공하는 내용으로, 개발·상용화 간극을 줄이려는 시도다.
② 연결 – APEC의 인터넷 보급률은 2025년 기준 67%로, EU(89%)·OECD 평균(83%)보다 낮다. 회원국들은 2030년까지 ‘모두의 연결성(All Connected 2030)’ 로드맵을 수립, 위성·해저케이블·6G 시험망에 공동 투자하기로 했다. 한국은 해저케이블 컨소시엄, 일본은 다국적 衛星인터넷 프로젝트, 미국은 개도국 5G 구축 ODA를 제안하며 역할 분담을 구체화했다.:contentReference[oaicite:3]{index=3}
③ 안전 – 딥러닝 합성 영상·음성의 급증으로 민주주의·금융 시스템 리스크가 부상하면서 ‘AI 신뢰성 지표’(APEC Trust Index)가 논의됐다. 초안은 ▲위험기반 분류 ▲데이터 출처 투명성 ▲모델 감사 프로토콜을 포함한다. 이는 EU AI 법, G7 히로시마 프로세스와 달리 비구속적 가이드라인으로, 회원국별 법제화 부담을 최소화했다.
전망·시사점: 한국의 ‘테크 외교’와 아·태 AI 주권
회의 직후 과기정통부는 8월 28일부터 9월 6일까지 ‘APEC 디지털 위크’를 개최해 브로드밴드·전파·AI 윤리 워크숍 30여 건을 연계한다. 또한 5일 인천에서 세계은행과 공동 주최하는 ‘글로벌 디지털·AI 포럼’에서 장관선언문의 세부 이행안을 논의한다. 이는 선언문이 행동 계획(Action Plan)으로 진화하는 가속 장치다. 전문가들은 한국이 2025 APEC 정상회의(11월, 서울) 의장국으로서 “AI 거버넌스 퍼스트 무버” 위상을 공고히 할 계기를 마련했다고 평가한다.:contentReference[oaicite:4]{index=4}
그러나 리스크도 상존한다. 첫째, 기술·표준을 둘러싼 미·중 전략 경쟁이 선언 이행을 지연시킬 수 있다. 둘째, 회원국 간 디지털 격차가 AI 데이터 편향으로 이어질 경우 ‘포용’이라는 공동 목표가 훼손될 수 있다. 셋째, 딥페이크·사이버 위협 대응에는 막대한 보안예산과 역량 공유가 필요하지만 개발도상국은 여전히 재원·인력난을 겪고 있다.
결론·제언
APEC 최초의 디지털·AI 장관회의는 ‘신뢰 기반 AI 생태계’라는 큰 그림을 그렸다. 실질적 성과를 위해선 ▲분기별 이행 점검과 피어 리뷰 ▲공동 투자형 데이터·인프라 펀드 설립 ▲AI 위험·안전 국제표준(ISO/IEC) 공동 제안 ▲민관·학계 연합의 프로젝트 매칭 플랫폼 구축이 요구된다. ‘모두의 AI’가 구호를 넘어 현실이 되려면 APEC이 선언을 실천 규범으로 구체화하는 후속 거버넌스가 관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