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 SONOW
AI·딥페이크 악용한 보이스피싱, 피해 급증
최근 보이스피싱 수법이 AI와 딥페이크 기술을 악용하며 점차 정교화되고 있다. 단순한 음성 위조를 넘어 실제 인물의 목소리와 대화를 모방하는 수준에 이르면서, 피해자들은 범인의 시나리오에 쉽게 휘말리고 있다. 2024년 한 해 동안 약 2만 건, 8천500억 원 이상의 피해가 발생했으며, 전년 대비 피해 금액은 무려 91%나 증가했다. 올해에는 피해액이 1조 원을 초과할 것으로 정부는 추산하고 있다.
전형적인 수법임에도 불구하고 피해자들은 법 집행 기관을 사칭한 협박성 통화에 심리적으로 지배당하며 송금을 하게 된다. 기존 대응 방식만으로는 기술 고도화에 따라가는 데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
금융위, '보이스피싱 AI 플랫폼' 연내 구축 선언
이에 금융위원회는 보이스피싱 범죄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통신사·금융회사·수사기관이 보유한 정보를 연동하는 통합 AI 플랫폼을 연내에 가동하겠다고 발표했다.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진화하는 범죄 수법에 맞서 AI를 방패로 삼아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이 플랫폼은 통합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범죄 패턴을 분석하고, 새로운 유형의 수법을 조기에 탐지해 자동 경고하거나 의심 송금을 차단할 수 있는 시스템을 목표로 한다. 특히,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차 검증해 검찰·경찰 사칭 여부 등을 탐지하는 기능도 포함될 예정이다.
범정부 연계 정보 체계…사전 예방 구조로 전환
기존에는 금융기관이나 경찰이 개별적으로 대응해왔던 한계를 넘어, 이번 AI 플랫폼은 다기관 협업을 통한 정보 실시간 공유가 핵심이다. 이는 단순 신고 기반 대응을 넘어, 범죄 발생 전 단계에서 이상 징후를 감지하고 사용자에게 경고하거나 즉시 차단할 수 있는 능동적 체계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아울러 금융위는 향후 피해자 구제와 예방 홍보, 고위험군 선별 등 다층적 접근 전략도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플랫폼은 그 첫 번째 사례로, 정책 범위를 더욱 넓혀 보이스피싱 전 생애주기를 통제하는 통합 솔루션으로 확장할 수 있다는 구상이다.
시사점: 금융 AI 인프라의 공공 적용 확대 가능성
보이스피싱 AI 플랫폼은 단순한 사기 방지를 넘어, 향후 금융 범죄 전반에 적용될 수 있는 공공 AI 인프라의 시험대가 될 수 있다. 특히 개인정보 유출, 악성 앱, 가짜 공문 등 다양한 범죄 유형에 대한 사전 대응 체계를 마련함으로써, 금융·통신·사법기관 간의 협력 모델을 제도화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AI 기술을 활용한 사전 탐지와 차단은 세계적 흐름”이라며 “한국형 통합 모델을 기반으로 국제 공조 체계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