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직 제도 개편 배경

국가공무원 당직 제도가 1949년 도입 이후 처음으로 전면 개편된다. 인사혁신처는 당직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공무원의 근무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근본적인 시스템 변화를 추진하고 있다. 현재 57만 명 규모의 당직 제도는 디지털 기술과 유연한 근무 방식을 도입해 행정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재택당직과 통합당직 확대

2023년 4월부터 재택당직과 통합당직이 본격 확대된다. 무인 전자경비장치와 유인 경비시스템을 갖춘 기관은 재택당직을 도입할 수 있으며, 외교부와 법무부 등 당직실 운영 기관은 기존 당직실을 폐지하고 상황실 중심으로 업무를 수행한다. 대전청사의 8개 기관은 3명의 당직 근무자가 모든 기관을 통합 관리하는 방식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AI 민원 응대 시스템 도입

야간과 휴일 민원 대응을 위해 AI 기술 기반 민원 응대 시스템이 도입된다. 일반 민원은 국민신문고로 전환하고, 화재와 범죄 관련 사항은 119와 112로 신고하도록 한다. 긴급하고 중요한 사항은 당직자에게 직접 연결되는 '핫라인'을 운영해 신속한 대응을 보장한다.

기대되는 효과와 미래 전망

이번 당직 제도 개편은 공무원의 근무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행정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재택당직과 AI 민원 시스템 도입으로 약 169∼178억 원의 예산 절감 효과가 예상되며, 공무원들의 업무 부담도 크게 줄어들 전망이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이번 혁신은 향후 공공행정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더 많은 정보는HEADLINES 허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