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 챗GPT 통합 서비스 이미지

출처 : SONOW

카카오톡-챗GPT 통합, 9월 23일 '이프카카오25'에서 첫 공개

카카오가 메신저 앱 카카오톡에 인공지능(AI) 챗봇 '챗GPT'를 탑재한다. 카카오는 9월 23일부터 25일까지 경기도 용인 '카카오 AI 캠퍼스'에서 개최되는 연례 개발자 행사 '이프카카오25'에서 이 서비스를 처음 공개할 예정이다. 이는 카카오와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지난 2월 체결한 전략적 제휴의 첫 결과물이다.

당시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이번 제휴의 테마가 여러 개라고 볼 수 있는데, 공동 상품 개발에 좀 더 비중을 두고 있다"며 "카카오 서비스에서 이용자 수요가 가장 맞는 접점을 찾아가려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번 협력으로 이용자는 카카오톡 앱 내에서 바로 챗GPT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채팅 탭에 챗GPT 아이콘 배치, 대화 맥락 활용 AI 서비스 구현

카카오톡 내 챗GPT 서비스는 채팅 탭에 아이콘이 탑재되는 방식이 유력하다. 이용자들은 별도 앱을 설치하거나 웹사이트로 이동할 필요 없이 카카오톡 내에서 바로 챗GPT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카카오는 채팅방의 '샵(#) 검색'에서도 챗GPT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신아 대표는 지난 2분기 실적발표에서 "카카오톡 내에서는 톡의 핵심 경험인 관계에 기반한 대화의 맥락 속에서 작동하는 AI 서비스를 준비 중"이라고 언급했다. 이는 단순히 챗GPT를 탑재하는 것을 넘어 카카오톡의 대화 맥락을 AI가 이해하고 활용하는 서비스로 발전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11월 전 서비스 출시 예정, AI 에이전트 생태계 구축도 병행

카카오-오픈AI의 협업 결과물은 늦어도 11월 전에는 카카오톡 이용자가 사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정신아 대표가 지난달 열린 컨퍼런스콜에서 "다음 실적 발표(11월 예상) 전에는 오픈AI와 공동으로 협업하고 있는 프로덕트를 사용할 수 있게 하겠다"는 의지를 밝혔기 때문이다.

카카오는 챗GPT 통합과 함께 AI 에이전트 기반 생태계 구축에도 나서고 있다. 카카오톡에 탑재된 AI 에이전트를 통해 자체 서비스와 외부 파트너 서비스까지 연결하는 구조를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카카오는 단순 메신저를 넘어 AI 기반 종합 플랫폼으로 카카오톡을 진화시키려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