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I RS 4 Mini 짐벌과 기술 스펙이 함께 표시된 인포그래픽

출처 : society-now.com

DJI가 또 한 번 카메라 업계를 뒤흔들었다. RS 4 Mini라는 이름으로 등장한 이 작은 괴물은 겨우 890g의 무게로 2kg까지의 카메라를 완벽하게 지탱한다. 단순한 무게 대비 성능을 넘어서, 2세대 자동화 축 잠금장치와 인텔리전트 추적 기능까지 탑재해 컨텐츠 크리에이터들의 작업 방식을 완전히 바꿔놓고 있다.

1초 만에 모든 게 끝난다! 2세대 자동화 축 잠금의 혁명

RS 4 Mini의 가장 큰 혁신은 2세대 자동화 축 잠금장치다. 이게 얼마나 혁신적인지 아직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기존 짐벌들은 촬영할 때마다 3개 축을 수동으로 풀고 잠그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했다. 하지만 RS 4 Mini는 전원만 켜면 자동으로 모든 축이 풀리고, 끄면 자동으로 잠긴다.

🔧 2세대 자동화 축 잠금장치의 놀라운 점들

• 1초 잠금 해제: 전원 켜자마자 바로 촬영 시작

• 자동 보관: 전원 끄면 즉시 안전하게 잠금

• 절전 모드: 사용하지 않을 때 자동으로 축 보호

• 공간 절약: 축 암 접기로 보관 공간 최소화

• 버튼 하나: 모든 조작이 원터치로 완료

이는 단순한 편의성을 넘어선다. DJI의 플래그십 짐벌에만 사용되던 기술을 Mini 시리즈에 적용한 것으로, 촬영 준비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킨다. 기존에는 촬영 준비에만 2-3분이 걸렸다면, 이제는 가방에서 꺼내서 전원 버튼 하나만 누르면 끝이다.

🔄 10초면 끝! 세계에서 가장 빠른 버티컬 전환

세로 영상 시대에 맞춘 또 다른 혁신이 바로 3세대 네이티브 버티컬 촬영 기능이다. RS 4 Mini는 RS 시리즈 중에서 수평과 수직 촬영 간 전환이 가장 빠르다. 측면 노브를 풀고 수평 플레이트를 90도 회전시키는 모든 과정이 단 10초 안에 완료된다.

이게 왜 중요할까? 틱톡, 인스타그램 릴스, 유튜브 쇼츠 등 세로 영상이 대세인 지금, 가로 영상을 세로로 크롭하면 화질 손실이 필연적이다. 하지만 RS 4 Mini로 촬영하면 네이티브 세로 영상을 바로 얻을 수 있어 화질 손실 없이 모바일에 최적화된 콘텐츠를 만들 수 있다.

3배 쉬워진 밸런싱, Teflon™의 마법

짐벌을 사용해본 사람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부분이 바로 밸런싱이다. 카메라 무게 중심을 정확히 맞춰야 하는데, 이게 생각보다 까다롭다. RS 4 Mini는 이 문제를 Teflon™ 인터레이어로 해결했다. DJI 플래그십 짐벌에만 사용되던 이 고급 기술을 Mini에도 적용한 것이다.

⚖️ 혁신적인 밸런싱 시스템

• Teflon™ 인터레이어: 마찰 최소화로 부드러운 조정

• 미세 조정 노브: 밀리미터 단위 정밀 밸런싱

• 3개 위치 슬롯: 다양한 카메라에 맞는 설치 위치

• 메모리 기능: 카메라 분리 후 재부착 시 자동 위치 복원

• 넓은 밸런싱 공간: 더 다양한 카메라 조합 지원

특히 틸트 축의 새로운 미세 조정 노브는 게임 체인저다. 기존에는 카메라를 앞뒤로 미세하게 움직이는 것이 어려웠는데, 이제는 정교한 밀리미터급 조정이 가능하다. 상단 퀵 릴리스 플레이트의 3개 위치 지정 슬롯도 혁신적이다. 카메라 종류에 따라 최적의 설치 위치를 선택할 수 있어 밸런싱이 3배 이상 쉬워졌다.

🎯 메모리 기능으로 한 번 설정하면 끝

더욱 놀라운 것은 메모리 기능이다. 한 번 밸런싱을 완료하면, 카메라를 분리했다가 다시 부착해도 정확히 같은 위치에 자동으로 맞춰진다. 이는 여러 촬영 현장을 오가며 작업하는 프로페셔널들에게는 혁명적인 기능이다.

AI가 대신 찍어준다! 인텔리전트 추적의 마법

RS 4 Mini의 가장 미래지향적인 기능은 바로 RS 인텔리전트 트랙 모듈이다. 이는 단순한 액세서리가 아니라 촬영 방식 자체를 바꾸는 혁신이다. 최대 10m까지 피사체를 추적하며, 여러 사람이 있는 복잡한 장면에서도 정확하게 타겟을 인식한다.

혼자서 브이로그를 촬영하거나 궤도 촬영, 후방 추적 촬영을 할 때 인텔리전트 추적 모듈은 마치 전문 카메라맨이 옆에서 도와주는 것과 같은 경험을 제공한다. 피사체가 일시적으로 프레임을 벗어나도 짐벌이 다시 찾아서 추적을 재개한다.

🎬 1초 마그네틱 마운트와 원터치 제어

인텔리전트 트랙 모듈의 설치도 혁신적이다. 마그네틱 퀵 릴리스 디자인으로 1초 만에 틸트 축에 부착되며, 자석의 강력한 잠금력으로 촬영 중 떨어질 걱정이 없다. 트리거 버튼 한 번만 누르면 피사체를 즉시 잠그고 추적을 시작한다.

더 신기한 것은 손바닥 제스처 인식이다. 트랙 모듈을 향해 손바닥을 펴면 1초 이내에 사용자를 피사체로 감지하여 추적을 시작한다. 셀피나 브이로그 촬영 시 별도의 조작 없이도 자동으로 자신을 따라다니며 촬영해주는 것이다.

🤖 인텔리전트 추적 모듈 핵심 기능

• 추적 거리: 최대 10m까지 안정적 추적

• 복잡한 장면: 여러 사람 중에서도 정확한 타겟 인식

• 재추적: 피사체가 일시적으로 사라져도 자동 재인식

• 손바닥 제스처: 1초 이내 자동 피사체 감지

• 마그네틱 마운트: 1초 설치, 안전한 고정

🎮 반응형 vs 부드러운 팔로우 모드

촬영 스타일에 따라 두 가지 팔로우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반응형 모드는 손 움직임에 빠르게 반응하여 다이내믹한 궤도 촬영에 적합하다. 반면 부드러운 팔로우 모드는 유연한 짐벌 반응을 제공하여 일반적인 팔로우 샷이나 평행 추적에 이상적이다.

890g이 2kg을 감당하는 비밀, 4세대 안정화 기술

RS 4 Mini의 진짜 기술력은 무게 대비 성능에서 드러난다. 겨우 890g의 무게로 최대 2kg의 페이로드를 지탱한다는 것은 단순한 수치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이는 4세대 RS 안정화 알고리즘과 고토크 모터의 조합으로 가능해진 것이다.

📷 호환성의 왕, 주요 카메라 완벽 지원

RS 4 Mini가 지원하는 카메라 조합을 보면 그 성능을 실감할 수 있다. Sony A7 시리즈와 24-70mm F2.8 GM II 렌즈 조합은 물론, Canon R5 + RF 24-70mm F2.8, Nikon Z7 2 + Z 24-70mm F2.8, Lumix S5 + L 20-60mm까지 완벽하게 지원한다.

📱 다양한 활용 방식

• 미러리스 카메라: Sony A7, Canon R5, Nikon Z 시리즈

• 브이로그 카메라: Sony ZV 시리즈 완벽 지원

• 스마트폰: 새로운 홀더로 빠른 전환 가능

• 액세서리: DJI Mic, 필 라이트 등과 동시 사용

• 무선 제어: 블루투스로 녹화/줌 원격 조작

🔋 30% 향상된 배터리와 충전 성능

배터리 성능도 대폭 개선됐다. 충전 속도와 사용 시간이 이전 세대 대비 30% 향상되어 최대 13시간까지 연속 사용이 가능하다. 30분 충전으로 5시간 사용할 수 있어 급한 촬영 일정에도 여유롭게 대응할 수 있다.

무선 녹화 및 줌 제어 기능도 혁신적이다. 블루투스 페어링 후 짐벌의 녹화 버튼으로 카메라나 스마트폰의 녹화를 케이블 없이 직접 제어할 수 있다. 조이스틱으로 PZ 렌즈의 파워 줌과 클리어 이미지 줌까지 제어 가능해 한 손으로도 완벽한 촬영이 가능하다.

🎨 세심한 UI 업그레이드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도 완전히 새로워졌다. 아이콘이 더 선명해지고 반응성이 향상됐으며, 새로운 짐벌 상태 알림 메시지가 추가됐다. 터치스크린 자동 잠금 기능으로 우발적인 터치를 방지하면서도 배터리를 절약할 수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RS 4 Mini는 단순한 소형화가 아니라 기술의 집약체"라며 "890g으로 2kg을 감당하는 것은 DJI의 기술력이 얼마나 발전했는지를 보여주는 상징적 사례"라고 평가했다.

💼 차세대 브리프케이스 핸들

RS 4 Mini 전용으로 개발된 차세대 브리프케이스 핸들도 주목할 만하다. 크기를 약 20%, 무게를 약 12% 줄여 저각 핸드헬드 촬영을 더욱 수월하게 만들었다. 이는 단순한 액세서리가 아니라 전체적인 촬영 경험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소다.

결론적으로 DJI RS 4 Mini는 단순한 새 제품 출시가 아니라 짐벌 기술의 패러다임 전환을 의미한다. 2세대 자동화 축 잠금장치, 인텔리전트 추적, Teflon™ 밸런싱, 4세대 안정화 알고리즘까지 모든 기술이 하나로 통합되어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촬영 경험을 제공한다. 890g으로 2kg를 감당한다는 것은 단순한 스펙이 아니라, DJI가 소형화와 고성능을 동시에 달성한 기술적 성취의 증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