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 KT-1B 기본훈련기 이미지

출처 : SONOW

한국수출입은행이 28일 한국항공우주산업 KAI의 인도네시아 기본훈련기 수명연장사업에 4500만 달러, 약 630억원 규모의 금융지원을 제공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지원은 완제품 수출부터 후속 기체구조 개조까지 방산 수출의 항공기 전체 생애주기를 지원한 첫 번째 사례로 평가된다.

KT-1B 12대 동체·주익 보강, 설계 수명 50% 연장 목표

이번 사업은 KAI가 2003년부터 인도네시아에 수출한 기본훈련기 KT-1B 20대 중 12대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훈련기를 분해해 정밀 점검한 후 핵심 구조물인 동체와 주익을 보강해 설계 수명을 기존 대비 50% 늘리는 것이 목표다.

수명연장사업의 단가는 완제품 항공기 1대 가격에 육박할 정도로 부가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수출입은행은 10년간의 장기 금융 제공 의사를 사전에 전달해 12대 물량을 한 번에 계약하는 데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항공기 획득 비용의 2~5배 규모, 애프터마켓이 새 성장동력

수출입은행 관계자는 이번 금융지원은 K-방산의 새로운 성장동력인 애프터마켓과 유지·보수·정비 MRO 사업 금융 솔루션을 개척한 선도적인 사례라고 강조했다. 통상 30~40년 이상 운용하는 항공기의 특성상, 후속지원과 성능개량사업은 항공기 획득 비용의 2~5배에 이른다.

KAI는 현재까지 전 세계 총 224대의 국산 항공기 수출 계약을 이뤄낸 만큼, 추가 사업 기회를 모색해 해외 시장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인도네시아는 KT-1, T-50 등 국산 항공기를 처음 도입한 해외 국가이자 KF-21의 공동개발국으로 K-방산의 중요한 파트너다.

완제품부터 전 생애주기까지, KAI 종합 항공 솔루션 기업 역량 입증

이번 계약을 통해 KAI는 항공기 개발과 제조에서부터 운용과 유지보수, 성능 개량까지 항공기 전체 생애주기 관리가 가능한 종합 항공 솔루션 제공 기업으로서의 역량을 입증했다. 특히 수출입은행의 선제적 금융 지원이 12대 일괄 계약을 가능하게 하며 사업 안정성을 높였다는 평가다.

방산업계에서는 이번 사례가 향후 K-방산의 애프터마켓 사업 확대에 중요한 선례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KAI가 수출한 224대의 항공기가 운용 연한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명연장 시기를 맞이하면서, 지속적인 사업 기회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인도네시아와의 성공적인 협력은 다른 국산 항공기 도입국들과의 후속 사업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수출입은행의 이번 금융 솔루션은 방산 수출이 일회성 판매에 그치지 않고 장기적인 파트너십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