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 SONOW
타임지 '2025년 AI 100대 인물'에 한국인 여성 2명 포함, 구상가 부문 선정
28일(현지 시간)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이 발표한 '2025년 인공지능(AI) 분야의 100대 인물'에 한국인 여성 두 명이 포함되며 글로벌 AI 업계에서 한국인의 영향력을 입증했다. 주인공은 최예진 미 스탠퍼드대 교수와 조앤 장 오픈AI 모델행동 총괄로, 이들은 젠슨 황 엔비디아 CEO, 샘 올트먼 오픈AI CEO,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와 나란히 이름을 올렸다.
타임은 올해 AI 분야에서 큰 영향을 끼친 100인을 리더, 혁신가, 개척자, 구상가의 4개 부문으로 나눠 발표했다. 이 중 최 교수와 장 총괄은 구상가 부문에 선정되어 AI의 미래 방향성을 제시하는 인물로 평가받았다.
최예진 교수, 자연어처리 권위자로 소규모언어모델 연구 선도
최예진 교수는 서울대 컴퓨터공학과를 졸업하고 미 코넬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자연어처리(NLP)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다. 2022년에는 '천재들의 상'으로 불리는 맥아더 펠로십을 수상하며 학계의 인정을 받았다. 올 1월부터는 스탠퍼드대 인간중심 AI연구소(HAI)에서 근무하고 있다.
타임은 "최 교수는 AI의 인간적 결과에 관심을 갖는 연구자가 됐다"며 "소수 거대 기업 중심인 거대언어모델(LLM)의 대안으로 부각되는 소규모언어모델(SLM)을 탐구하기 위해 HAI에 합류했다"고 평가했다. 이는 AI 기술의 민주화와 접근성 향상에 기여하는 연구로 주목받고 있다.
조앤 장 총괄, 오픈AI에서 AI 모델 행동과 정책 총괄하며 사용자 중심 AI 구현
조앤 장 총괄은 드롭박스와 구글의 프로덕트매니저(PM)를 거쳐 2021년 12월 오픈AI에 입사했다. 현재 AI 모델 행동과 정책을 총괄하며 ChatGPT를 비롯한 오픈AI 제품들이 사용자에게 안전하고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핵심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타임은 "장 총괄은 사용자가 AI를 활용해 목표를 달성하도록 돕는 것을 자신의 소명으로 여기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는 AI 기술이 단순한 혁신을 넘어 실제 사용자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발전하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로 인정받고 있다.
글로벌 AI 리더들과 어깨 나란히 하며 한국의 AI 인재 역량 입증
이번 선정에서 리더 부문에는 황 CEO, 올트먼 CEO, 머스크 CEO를 비롯해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 회장,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 앤디 제시 아마존 CEO, 웨이저자 TSMC 회장, 량원펑 딥시크 창업자 등이 선정됐다.
한국인 두 명이 이러한 글로벌 AI 거물들과 함께 선정된 것은 한국의 AI 인재들이 세계 무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사건이다. 특히 두 명 모두 여성이라는 점에서 AI 분야에서의 다양성과 포용성 측면에서도 의미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