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 SONOW
日 국채 금리, 17년 만에 최고치
일본 장기금리의 지표인 10년물 국채 금리가 다시 급등하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21일 도쿄 채권시장에서 10년물 금리는 한때 1.61%를 찍으며, 리먼 브러더스 사태 직후와 유사한 수준으로 치솟았다. 20년물 금리도 1999년 11월 이후 최고치인 2.655%까지 상승했다.
일본은행의 금리 정책과 긴축 전망
시장 전문가들은 일본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주요 배경으로 지목한다. 일본은행은 올해 1월 단기 정책금리를 기존 0.25%에서 0.5%로 인상한 뒤 네 차례의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동결 기조를 유지해왔다. 그러나 최근 물가와 임금 상승 압력이 겹치며 10월쯤 추가 인상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확산되고 있다.
정치적 변수와 재정 불안
교도통신에 따르면 참의원 선거 이후 여권의 입지 약화와 재정 악화 우려도 금리 상승을 자극했다. 자민당과 공명당이 소수 여당이 되면서 재정 지출 확대에 대한 불안감이 커진 상황이다. 특히 야당이 소비세 감세를 주장하면서 적자 국채 발행 가능성이 부각됐고, 이는 시장에서 장기금리 상승을 가속화했다.
시장 전망과 시사점
국제 금융시장은 일본 국채 금리의 상승세가 단기적인 현상을 넘어 글로벌 채권시장에도 파급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일본 국채는 세계 3대 안전자산 중 하나로 꼽히는 만큼, 금리 상승은 해외 투자자의 자금 흐름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전문가들은 일본은행이 향후 금리 인상 속도와 재정정책 방향을 어떻게 조율할지가 관건이라고 분석한다.
결국 이번 사태는 일본 내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의 균형이 무너질 경우, 국채 시장 불안이 글로벌 금융시장 전반으로 확산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