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예산안 728조 원 발표 인포그래픽

출처 : SONOW

현황/배경: 728조 편성과 재정의 방향

정부는 2026년 총지출을 728조 원으로 편성했다. 이는 물가 안정 국면에서 경기 회복을 뒷받침하고 구조적 성장 잠재력을 키우겠다는 신호다. 동시에 국가채무는 1,400조 원을 넘어선다. 재정 확장 기조를 유지하되, 복지·안전망·미래산업을 우선순위에 올리는 프레임이 확인됐다.

이번 편성은 총량 확대와 지출 구조조정의 병행이 특징이다. 정부는 중복·저효율 사업 1,300건+을 정비하고 약 27조 원을 절감하기로 했다. 총량을 늘리면서도 재정의 질을 높이려는 시도다.

심층 분석: 총량·배분·집행의 3요소

총량 측면에서 확장 재정은 내수 방어와 고용 안정에 유효하다. 다만 세입 전망의 불확실성과 국채 의존도 증가는 이자비용 상향과 중기 재정여력을 제약한다. 적정 국채 발행 규모와 국채 만기 구조 관리가 필수다.

배분은 성장동력과 생활밀착 영역의 균형이 핵심이다. 제조업 고도화, 디지털·그린 전환, 지역 인프라, 필수의료·돌봄과 같은 공공서비스의 체감 품질 개선이 투자 타깃이다. 배분 원칙의 투명성과 성과 지표화가 없다면 확장 효과는 약화된다.

집행은 성패를 가른다. 대규모 예산은 조달·인허가·전력·토지와 같은 현장 제약에 부딪힌다. 부처 간 조정, 예타·입찰 절차의 병목 해소, 민간투자 유인 설계가 동시다발적으로 필요하다. 집행률과 성과를 분기 단위로 공개하는 거버넌스가 요구된다.

영향/파급효과: 거시·산업·가계의 교차점

거시에는 성장률 상향 압력과 함께 물가·금리 경로의 변동성이 내재한다. 확장 재정이 통화정책과 상충하지 않도록 시차와 규모를 조정해야 한다. 이자비용 증가는 다른 항목의 크라우딩 아웃 위험을 키운다.

산업에는 설비투자와 공공 발주 확대 효과가 예상된다. 다만 전력·인력·부지 제약이 병목으로 작동할 수 있다. 공공 RFP의 표준화와 단계형 사업 구조가 민간의 참여 리스크를 줄인다.

가계에는 복지·보건·교육 분야 지출의 체감도가 중요하다. 물가 둔화 국면에서 실질 가처분소득을 높이는 정책 조합이 필요하며, 저소득층·청년·고령층에 대한 표적 지원이 효율적이다.

전망/시사점: 재정의 질적 전환과 관리

단기적으로는 경기 방어와 민생 안정에 기여할 가능성이 크다. 중기적으로는 성과 기반 예산지표 연동 집행이 없으면 지속가능성이 약화된다. 국채 관리, 세입기반 확충, 공공부문 생산성 제고가 3대 과제다.

재정의 우선순위는 명확해야 한다. 생산성 제고와 안전망 보강이 투입 대비 산출을 극대화한다. 지방균형·주거·필수의료 같은 구조 과제를 포함한 패키지 접근이 요구된다.

결론/제언

권고 1: 총사업비 1조 원 이상 대형 과제에 단계별 KPI를 의무화하고 분기 성과를 공개하라. 권고 2: 구조조정 27조 원의 항목·근거를 데이터셋으로 공개해 민간 검증을 허용하라. 권고 3: 국채 만기 분산·헤지 전략을 강화해 이자 리스크를 완화하라. 핵심은 확장과 건전성의 동시 달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