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직접 개입, 아마존 관세 표시 계획 철회..."중국산 제품 가격 ...

SONOW / 2025-04-30
기사 이미지

아마존, 관세 표시 검토 후 백악관 비판과 트럼프 직접 전화에 즉각 철회.

전자상거래 공룡 아마존이 상품 가격에 관세로 인해 추가된 금액을 표시하는 방안을 검토했다가 백악관의 강력한 비판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직접적인 항의 전화 후 곧바로 계획을 백지화했다. 아마존은 현지시간 29일 성명을 통해 이러한 정책 검토가 있었음을 인정하면서도 이를 실행하지 않을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아마존 측은 "초저가 상품 '아마존 홀'(Amazon Haul) 스토어를 운영하는 팀이 특정 제품에 수입 비용을 표시하는 아이디어를 검토했으나, 이는 주요 아마존 사이트에 대한 고려 대상이 결코 아니었으며 아마존의 어떤 플랫폼에도 구현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또한 이러한 검토 내용이 회사 내부에서 정식 승인된 적이 없으며, 앞으로도 "실현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논란은 미국 매체 펀치볼뉴스가 소식통을 인용해 아마존이 상품 가격 옆에 관세로 인해 추가된 비용을 별도로 표시하기 시작할 것이라고 보도하면서 시작됐다. 이 보도가 나온 직후 백악관은 강력하게 반발했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직접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에게 전화를 걸어 불만을 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백악관, "아마존의 적대적이고 정치적인 행위"라며 강력 비판...중국과의 협력 의혹도 제기.

백악관은 아마존의 관세 표시 검토 소식에 대해 매우 강력하게 반응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29일 언론 브리핑에서 이를 "아마존의 적대적이고 정치적인 행위"라고 규정하며, "(전임) 바이든 행정부가 40년 만에 가장 높은 인플레이션을 기록했을 때 왜 아마존은 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나"라고 날선 비판을 가했다.

특히 레빗 대변인은 브리핑 도중 2021년 12월 로이터 통신의 기사가 인쇄된 종이를 들어 보이며 "아마존이 중국 선전 기관과 협력했다"고 주장했다. 그가 언급한 로이터 기사는 아마존의 중국 웹사이트에서 시진핑 국가주석의 연설과 글이 수록된 책에 대한 이용자 리뷰를 검열했다는 내용이었다. 이를 근거로 레빗 대변인은 아마존이 관세를 표시하겠다는 결정이 "놀라운 일도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CNN과 NBC 방송은 이날 백악관 브리핑에 앞서 아마존 관련 내용을 접한 트럼프 대통령이 크게 화를 내며 베이조스에게 직접 전화해 불만을 표시했다고 백악관 고위 관계자들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한 백악관 고위 관계자는 CNN에 "물론 그(트럼프 대통령)는 화를 냈다"면서 "왜 수십억달러 규모의 기업이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해야 하느냐"고 지적했다고 전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언론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아마존의 적대적이고 정치적인 행위"라며 "(전임) 바이든 행정부가 40년 만에 가장 높은 인플레이션을 기록했을 때 왜 아마존은 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나"라고 지적했습니다.

트럼프-베이조스 관계 새 국면, 중국 고율 관세 정책이 전자상거래에 미치는 영향 부각.

이번 사태는 트럼프 대통령과 베이조스 간의 관계가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음을 보여주는 신호로 해석된다. CNBC는 아마존에 대한 백악관의 공개 질타가 두 사람 사이의 새로운 갈등을 시사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아마존은 올해 초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식 기금에 100만달러를 기부했고, 베이조스는 지난 1월 취임식에 참석하며 트럼프 대통령과 가까워지는 듯한 모습을 보였지만, 이번 관세 표시 문제로 양측 관계가 급격히 악화된 셈이다.

전문가들은 특히 중국을 겨냥한 트럼프 대통령의 고율 관세 정책이 중국산 제품 판매 비중이 높은 아마존의 전자상거래 사업에 큰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아마존이 작년 11월부터 개설해 운영 중인 '아마존 홀' 스토어는 중국의 저가상품 플랫폼 테무와 쉬인을 겨냥한 쇼핑몰로, 20달러 이하의 초저가 상품을 주로 판매하고 있다.

주목할 만한 점은 아마존의 경쟁업체인 테무가 이미 미국의 관세 부과에 대응해 지난 주말부터 약 145%의 '수입 수수료'(import charges)를 상품 가격에 추가해 표시하며 판매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테무가 관세 부담을 명시적으로 소비자에게 전가하는 방식을 채택한 것과 달리, 아마존은 백악관의 강력한 반발 이후 이러한 접근을 공식적으로 포기한 셈이다.

소비자 경제 전문가 A씨는 "결국 관세 인상으로 인한 비용은 어떤 형태로든 소비자에게 전가될 수밖에 없다"며 "다만 이를 얼마나 투명하게 공개하느냐의 차이일 뿐, 관세의 경제적 부담은 상품 가격에 반영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자상거래 업계 관계자 B씨는 "아마존의 관세 표시 검토는 정치적 의도보다는 소비자에게 가격 구성 요소를 투명하게 보여주려는 시도였을 수 있지만, 현 정치 환경에서는 정책적 비판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SONOW / 2025-04-30
#아마존 #트럼프 #관세 #제프 베이조스 #중국 무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