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글, 클라우드 넥스트 2025에서 'A2A 프로토콜' 공개... AI 에이전트 간 협업 시대 개막.
구글이 클라우드 넥스트 2025 행사에서 'A2A(AI-to-AI)' 프로토콜을 발표하며 AI 에이전트 간 협업 시대를 열었다. 이 프로토콜은 여러 AI 에이전트를 연결해 복잡한 작업을 분담 처리할 수 있게 해주는 획기적인 기술로, 기존의 MCP(모델 콘트롤 패널)보다 더 확장된 형태다. 사용자는 다양한 앱을 전환하거나 통합하는 번거로움 없이 하나의 인터페이스에서 여러 AI 에이전트와 상호작용할 수 있게 된다.
A2A 프로토콜의 가장 큰 특징은 세일즈포스, 원드라이브 등 외부 서비스와도 원활하게 연결된다는 점이다. 구글은 "기업들이 자사의 AI 서비스를 더 쉽게 구축하고 서로 다른 벤더의 AI 시스템을 통합할 수 있는 생태계를 지향한다"고 밝혔다. 이는 사일로(silo) 형태로 분산된 AI 앱들을 하나로 묶어 사용자 경험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제미나이 업데이트와 비디오 인페인팅 기술... AI 콘텐츠 생성 수준 한 단계 도약.
구글은 A2A 프로토콜과 함께 제미나이(Gemini) 모델의 주요 업데이트와 비디오 생성 기술도 공개했다. 특히 주목받은 것은 비디오 인페인팅(영상 일부 삭제/보정) 기술로, AI가 영상의 특정 부분을 자연스럽게 수정하고 배경 음악까지 자동으로 생성해 입힐 수 있게 되었다. 이 기술은 영상 편집의 패러다임을 바꿀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쇼핑, 예약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는데, 예를 들어 AI가 자동으로 가격 흥정을 대신하거나 최적의 여행 일정을 제안할 수 있다. 구글은 '에이전트 갤러리'를 통해 개발자들이 맞춤형 AI 에이전트를 쉽게 개발하고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도 함께 제공한다고 밝혔다.
A2A 프로토콜은 마치 우리가 전문가 집단에 업무를 맡기는 것과 같은 경험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전자제품을 찾을 때 낙원상가에서 여러 전문가들이 협업하는 것처럼, 각기 다른 역할을 가진 AI 에이전트들이 함께 작업하여 최적의 결과물을 만들어냅니다. 사용자는 복잡한 과정을 신경 쓸 필요 없이 결과만 받아보면 됩니다. - 구글 클라우드 AI 부문 책임자
JSON 기반 카드 시스템으로 구현된 A2A 기술 구조와 실제 활용 방안.
A2A 프로토콜의 기술적 구조는 클라이언트/리모트 에이전트 구조와 JSON 기반 카드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에이전트는 "이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정보를 카드 형태로 제출하고, 클라이언트가 사용자의 요청에 맞춰 자동으로 적절한 에이전트를 매칭한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는 어떤 에이전트가 작업을 처리하는지 알 필요 없이, 자연스러운 대화로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구글은 이미 Atlassian, Salesforce, 랭체인, MongoDB 등 주요 파트너사들과 협력하여 이들의 AI 앱도 A2A 생태계에 통합하고 있다. 특히 기업 환경에서의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개발자는 각 에이전트의 카드만 확인하고 연결하면 되므로 복잡한 통합 작업 없이 모듈화된 개발이 가능하다. 이는 플랫폼 프레임워크나 벤더별 커스터마이징이 필요 없어 개발 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실제 업무 적용 사례... "통합이 AI 경쟁력의 핵심".
A2A 프로토콜은 보안 면에서도 오픈 API 수준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제미나이 등 로컬 정보만 활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어 개인 정보 보호에도 신경썼다. 실제 업무 적용 사례로는 채용, IT 지원, 주문 처리 등 다양한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자동화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채용 과정에서 지원자 스크리닝, 면접 일정 조율, 피드백 수집 등이 여러 AI 에이전트의 협업으로 자동화될 수 있다.
구글의 이번 발표는 AI 기술 경쟁의 새로운 국면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기술 분석가들은 "이제는 단일 AI 모델의 성능보다 '누가 더 잘 통합하느냐'가 AI 생태계의 경쟁력을 좌우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앱 전환 없이 하나의 화면에서 대화하며 모든 작업을 처리할 수 있어, AI의 실용적 가치가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구글의 A2A 프로토콜이 AI 에이전트 시장의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잡을지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