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여당, AI 인프라 예산 대폭 확대 추진
정부와 여당이 인공지능(AI)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2조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하는 방안을 본격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이는 기존 여야 협의로 증액된 1.2조 원 예산에 8천억 원을 추가한 수치로, 당정은 이 예산을 통해 연내 GPU 1만 장 확보 및 내년 상반기까지 2만 장 확보라는 목표를 제시했다.
18일 국회에서 열린 AI 경쟁력 강화 당정협의회에서 최형두 의원은 정부의 과감한 결단을 촉구하며, AI 인프라가 단순한 산업 지원을 넘어 국가 전략 자산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논의는 단기적 성과 중심의 정책이 아닌, 장기적인 국가 경쟁력 확보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국가AI컴퓨팅센터 중심의 생태계 확대 전략
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브리핑에서 "AI 컴퓨팅 인프라는 국가 발전의 핵심 성장동력이며, 조기 확충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이를 위해 민관 협력을 강화하며, 연구계와 산업계가 사용할 수 있는 GPU 자원을 국가AI컴퓨팅센터를 통해 제공할 계획이다.
센터는 멀티모달을 포함한 다양한 AI 학습데이터를 지원하게 되며, 이를 통해 한국형 초거대 AI 모델의 글로벌 경쟁력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I 스타트업, 중소기업, 대학 연구소 등 다양한 참여 주체들이 동등하게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예정이다.
AI 인재 양성 위한 무상교육과 장학 제도 논의
당정은 AI 분야 인재 육성을 위한 획기적인 지원 정책도 함께 준비 중이다. 특히, 청년들이 국가첨단전략기술 분야에 도전할 수 있도록 무상교육과 특화된 장학 제도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김 의장은 관련 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국내 졸업 후 산업 종사를 전제로 장학금과 해외 유학까지도 지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단기적인 기술 인력 양성뿐 아니라, 장기적으로 국가 기술 주권 확보의 기반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