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 대형 산불, 대피체계 개선의 계기
정부는 최근 경북 지역에서 발생한 초고속 산불로 31명이 사망하는 등 심각한 인명 피해가 발생한 것을 계기로 주민대피 체계를 전면 개선하기로 했다. 당시 비화가 최대 2km까지 확산되며 고온건조한 기상 조건과 강풍이 겹쳐 예측 불가능한 산불 확산을 야기했다.
산불 대응과 대피 시간의 불일치, 고령자 대피시간 미반영, 통신·전력 단절로 인한 상황 전달 지연 등 기존 대피체계의 구조적 한계가 이번 재난에서 명확히 드러났다.
산불확산예측시스템 개선…5시간·8시간 기준 도입
산림청과 기상청, 국립산림과학원 등 관계기관은 최대순간풍속과 같은 핵심 데이터를 반영해 산불확산예측시스템을 개편한다. 이를 바탕으로 위험구역(화선 도달 5시간 이내), 잠재위험구역(8시간 이내)을 명확히 설정한다.
기상악화로 화선 정보 확보가 어려울 경우, 보수적 기준을 적용해 최대 확산 범위를 산정하며, 산림청은 이를 기반으로 지자체에 안내할 예정이다.
대피 3단계 기준 'Ready-Set-Go' 도입
행정안전부는 산불 위험도에 따른 주민대피 3단계 체계(RSG: Ready-Set-Go)를 도입한다. 'Ready'는 위험 인식과 정보 확인 단계, 'Set'은 고령자 및 취약계층의 사전 대피 단계, 'Go'는 즉시 대피 지시가 내려지는 단계로 구분된다.
특히 야간 산불의 경우 일몰 전까지 취약시설 중심의 선제적 대피가 이뤄져야 하며, 지역별 최대순간풍속이 20m/s 이상이면 읍·면 단위가 아닌 광역단위 대피계획 수립이 요구된다.
“초고속 산불은 예측보다 빠르기에, 조기 경보와 선제 대피가 인명 피해를 줄이는 핵심입니다.”
— 이한경 재난안전관리본부장